home *** CD-ROM | disk | FTP | other *** search
- <?xml version="1.0"?>
- <gconf>
- <dir name="schemas">
- <dir name="apps">
- <dir name="xchat">
- <dir name="plugins">
- <dir name="urlscraper">
- <entry name="timestamp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록에 시간 삽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main_window">
- <entry name="use_sys_fon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목록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transparen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경이미지: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경이미지: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irc">
- <entry name="showtimestamp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록에 시간 삽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wayms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세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quitms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세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control-center">
- <entry name="cc_exit_shell_on_action_upgrade_uninsta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업그레이드 혹은 설치 해제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끝냅니다">
- <longdesc>업그레이드 혹은 설치 해제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닫을 지 여부를 가리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c_exit_shell_on_action_add_remo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더하기 혹은 지우기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끝냅니다">
- <longdesc>더하기 혹은 지우기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닫을 지 여부를 가리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c_exit_shell_on_action_hel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움말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끝냅니다">
- <longdesc>도움말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닫을 지 여부를 가리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c_exit_shell_on_action_sta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끝냅니다">
- <longdesc>시작 동작을 수행할 때 쉘을 닫을 지 여부를 가리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c_exit_shell_on_static_a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태스크를 활성화할 때 컨트롤센터를 닫습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"공통 작업"을 활성화할 때 컨트롤 센터를 닫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c_actions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 이름과 관련 .desktop 파일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nautilus-cd-burner">
- <entry name="burnproof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번프루프(BurnProof) 기능 사용">
- <longdesc>일부 리코더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번프루프(BurnProof)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verbur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용량 초과 굽기 사용">
- <longdesc>물리적인 미디어 크기를 넘어가는 데이터를 쓰도록 허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bu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버깅 사용">
- <longdesc>CD 리코딩 디버깅을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굽기 속도">
- <longdesc>미디어를 쓸 기본 속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emp_iso_di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임시 ISO 이미지를 만들 디렉토리">
- <longdesc>임시 ISO 이미지를 만드는 데 쓸 디렉토리. 시스템 임시 디렉토리 기본값을 사용하려면 비워 두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ession">
- <dir name="options">
- <entry name="logout_o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 대화 창에서 선택할 옵션">
- <longdesc>로그아웃 대화상자에서 선택할 옵션입니다. 올바른 값들로는, 로그아웃은 "logout", 시스템 끄기는 "shutdown", 시스템 다시 시작은 "restart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plash_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인 스플래시 화면에 사용할 그림">
- <longdesc>$datadir/pixmaps/ 디렉토리에 대한 상대 경로입니다. 하위 디렉토리를 쓸 수도 있고 그림 파일 이름을 쓸 수도 있습니다. 이 값을 바꾸면 다음에 로그인할 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low_tcp_connec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TCP 연결 허용">
- <longdesc>보안때문에 _IceTcpTransNoListen()를 가진 플랫폼(XFree86 시스템)에서는 TCP포트 연결을 듣고있지 않습니다. 이 옵션은 (인증된) 원격 호스트의 연결을 혀옹합니다. gnome-session을 다시 시작하여야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out_promp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 물어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 gnome-session이 끝나기 전에 사용자에게 물어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save_ses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션 저장">
- <longdesc>참이면 gnome-session이 자동으로 세션을 저장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로그아웃 대화상자에 세션 저장옵션이 보여질 것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splash_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 화면 보이기">
- <longdesc>세션이 시작하는 화면을 봅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ystem-tools">
- <dir name="users">
- <entry name="showa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관리도구에서 모든 사용자와 그룹을 보여줍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totem">
- <entry name="open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...열기" 창의 기본 경로">
- <longdesc>"...열기" 창의 기본 경로, 기본값은 현재 디렉토리입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ubtitle_encod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막 인코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ubtitle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막 글꼴">
- <longdesc>자막을 그릴 때 쓰일 글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uffer-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버퍼 크기">
- <longdesc>디코딩 하기전에 최대 데이터 양(초단위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work-buffer-threshol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네트워크 버퍼링 임계점">
- <longdesc>네트워크 스트림을 연주하기 시작하기 전에 버퍼링할 양(초단위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olu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 볼륨">
- <longdesc>소리 볼륨, 퍼센트 단위, 0에서 100까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ndow_on_t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주 창을 맨 위에 놓을 지 여부">
- <longdesc>주 창을 맨 위에 놓을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dio_output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오디오 출력 형식">
- <longdesc>사용할 오디오 출력 형식: "0"은 스테레오, "1"은 4 채널 출력, "2"는 5.0 채널 출력, "3"은 5.1 채널 출력, "4"는 AC3 통과 연결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bu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재생 엔진에 디버깅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interla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터레이스 없애기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uff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임의 재생 모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pe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반복 모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re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을 읽어들일 때 자동으로 캔버스 사이즈 재조정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atur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의 채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u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의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ntra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의 대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rightnes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의 밝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su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각 효과 플러그인의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vfx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파일 재생시 시각 효과 보여주기">
- <longdesc>오디오 파일 재생시 시각 효과 보여주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omboy">
- <dir name="export_html">
- <entry name="export_link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ML 내보내기 - 연결된 쪽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lobal_keybindings">
- <entry name="open_start_her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'여기서 시작' 열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sound-juicer">
- <entry name="volu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볼륨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dio_profi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코드할 때 쓰일 오디오 프로파일">
- <longdesc>인코드 할 때 쓸 그놈 오디오 프로파일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usicbrainz_ser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MusicBrainz 서버">
- <longdesc>지정되면 이 값을 기본 MusicBrainz 서버로 씁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rip-speci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이름에서 특수문자를 지웁니다">
- <longdesc>이 기능을 켜면, 출력파일 이름에서 공백문자, 와일드카드 및 백슬래시같은 특수 문자가 지워지게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ranoia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paranoia 모드">
- <longdesc>Paranoia 모드: 0) 쓰지 않음 2) 약간 4) 겹침 8) 긁힘 16) 고침 255) 전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ile_patter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이름 패턴">
- <longdesc>확장자를 지정하지 마십시오. %at -- 앨범 제목 %aT -- 앨범 제목 (소문자) %aa -- 앨범 가수 %aA -- 앨범 가수 (소문자) %as -- 앨범 가수 (분류할 수 있는) %aS -- 앨범 가수 (분류할 수 있는 소문자) %tn -- 트랙 번호 (예: 8) %tN -- 0으로 채운 트랙 번호 (예: 08) %tt -- 트랙 제목 %tT -- 트랙 제목 (소문자) %ta -- 트랙 가수 %tA -- 트랙 가수 (소문자) %ts -- 트랙 가수 (분류할 수 있는) %tS -- 트랙 가수 (분류할 수 있는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th_patter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에 대한 디렉토리 구조">
- <longdesc> %at -- 앨범 제목 %aT -- 앨범 제목 (소문자) %aa -- 앨범 가수 %aA -- 앨범 가수 (소문자) %as -- 앨범 가수 (분류할 수 있는) %aS - 앨범 가수 (분류할 수 있는 소문자) %tt -- 트랙 제목 %tT -- 트랙 제목 (소문자) %ta -- 트랙 가수 %tA -- 트랙 가수 (소문자) %ts -- 트랙 가수 (분류할 수 있는) %tS - 트랙 가수 (분류할 수 있는 소문자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jec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음악을 모두 가져오면 CD를 꺼낼지 결정합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ystem-log">
- <entry name="logfil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열어 볼 로그 파일">
- <longdesc>시작할 때 열어 볼 로그 파일의 목록을 지정합니다. 기본 목록은 /etc/syslog.conf 파일을 읽어서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너비(픽셀)">
- <longdesc>로그 보기 프로그램 기본 창의 너비를 픽셀로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높이(픽셀)">
- <longdesc>로그 보기 프로그램의 기본창 높이(픽셀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nt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 보기에서 쓰이는 글꼴의 크기">
- <longdesc>기본 로그 보기에서 쓰이는 고정폭 글꼴의 크기를 지정합니다. 터미널 글꼴 크기를 기본값으로 가져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fi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열어 볼 로그 파일">
- <longdesc>시작할 때 열어 볼 로그 파일을 지정합니다. 기본값은 운영체제에 따라 /var/adm/messages 아니면 /var/log/messages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earch-tool">
- <entry name="default_window_maximiz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최대크기 설정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 창이 최대크기로 시작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window_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높이">
- <longdesc>이 키는 창 높이를 정합니다. 그리고 세션 사이에서 찾기 도구의 크기를 저장하는 데 쓰입니다. -1이 설정되어 있으면 기본 높이로 설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window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너비">
- <longdesc>이 키는 창 너비를 정합니다. 그리고 세션 사이에서 찾기 도구의 크기를 저장하는 데 쓰입니다. -1이 설정되어 있으면 기본 너비로 설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umns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찾은 결과 컬럼 순서">
- <longdesc>이 키는 찾은 결과에서 컬럼 순서를 정합니다. 이 키는 사용자가 고치면 안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quick_search_second_scan_excluded_path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빠른 찾기 2단계 제외할 경로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의 빠른 찾기 2단계에서 제외할 경로를 지정합니다. 2단계에서는 find 명령을 사용합니다. 2단계의 목적은 색인을 만들지 않은 파일을 찾는 것입니다. '*' 및 '?' 와일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기본값은 /mnt/*, /media/*, /dev/*, /tmp/*, /proc/* 그리고 /var/*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quick_search_second_sca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빠른 찾기 2단계 사용하지 않음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가 빠른 찾기를 한 후에 find 명령을 사용하지 않을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quick_search_excluded_path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빠른 찾기 제외할 경로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의 빠른 찾기에서 제외할 경로를 지정합니다. '*' 및 '?' 와일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기본값은 /mnt/*, /media/*, /dev/*, /tmp/*, /proc/* 그리고 /var/*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quick_searc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빠른 찾기 사용하지 않음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가 간단한 파일 이름 찾기를 할 때 locate 명령을 사용하지 않을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additional_op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추가 옵션 보기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다른 옵션 보기" 부분을 늘려 놓을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select">
- <entry name="include_other_filesystem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다른 파일 시스템 포함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다른 파일 시스템 포함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llow_symbolic_link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심볼릭 링크 따라가기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심볼릭 링크 따라가기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hidden_files_and_fold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숨겨진 파일 혹은 폴더 보기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숨겨진 파일 혹은 폴더 보기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_matches_regular_expres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이름에 맞는 정규 표현식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이름에 맞는 정규 표현식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_does_not_contai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이름에 포함하지 않음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이름에 포함하지 않음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wner_is_unrecogniz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소유자 알 수 없음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소유자 알 수 없음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wned_by_gro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소유한 그룹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소유한 그룹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wned_by_us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소유한 사람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소유한 사람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ile_is_empt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비어 있는 파일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비어 있는 파일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ze_at_mo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최대 크기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최대 크기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ze_at_lea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최소 크기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최소 크기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ate_modified_more_tha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이후에 바뀐 기간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이후에 바뀐 기간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ate_modified_less_tha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최근에 바뀐 기간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최근에 바뀐 기간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ntains_the_tex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텍스트 포함" 찾기 옵션 선택">
- <longdesc>이 키는 찾기 도구를 시작할 때 "텍스트 포함" 찾기 옵션을 선택할 지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creenshot">
- <entry name="border_effec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두리 효과">
- <longdesc>테두리에 바깥 쪽에 넣을 효과. 쓸 수 있는 값은 "shadow", "none", "border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nclude_b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두리 포함">
- <longdesc>화면을 잡을 때 창 관리자 테두리도 포함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st_save_directo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크린샷 디렉토리">
- <longdesc>스크린샷을 마지막에 저장할 때 사용한 디렉토리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dictionary">
- <entry name="sidebar-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조 창의 너비">
- <longdesc>이 키는 보조 창의 너비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설정을 기억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bar-p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표시할 보조 창의 페이지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을 보조 창의 어떤 페이지를 표시할 지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보조 창의 상태를 기억합니다. "speller" 혹은 "databases"를 쓸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usbar-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상태 표시줄을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을 상태 표시줄을 표시할 지 여부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상태 표시줄의 상태를 기억합니다. 참으로 설정하면 상태 표시줄을 항상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bar-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조 창을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을 보조 창을 표시할 지 여부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보조 창의 상태를 기억합니다. 참으로 설정하면 보조 창을 항상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ndow-is-maximiz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그램 창을 최대화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을 최대화할 지 여부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사전 창의 상태를 기억합니다. 참으로 설정하면 창은 항상 최대화된 상태로 나타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-window-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그램 창의 기본 높이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의 높이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사전 창의 크기를 기억합니다. -1로 설정하면 글꼴 크기에 따라 창 높이가 결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-window-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그램 창의 기본 너비">
- <longdesc>이 키는 창의 너비를 지정하고 세션마다 사전 창의 크기를 기억합니다. -1로 설정하면 글꼴 크기에 따라 창 너비가 결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urce-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사전 소스의 이름">
- <longdesc>단어 정의를 가져올 때 사용할 사전 소스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-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할 때 사용할 글꼴">
- <longdesc>단어 정의를 인쇄할 때 사용할 글꼴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rateg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기본 찾기 방식">
- <longdesc>주어진 사전 소스에서 사용할 기본 찾기 방식 (사용 가능하다면). 기본 방식은 'exact'로 정확히 맞는 단어만 찾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ataba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기본 데이터베이스">
- <longdesc>사전 서버에서 사용할 각 데이터베이스의 이름. 느낌표("!")는 사전 소스에 주어진 서버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찾는다는 뜻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ma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똑똑한 찾기 (낡음)">
- <longdesc>똑똑한 찾기를 사용할 지 여부를 지정합니다. 이 키는 사전 서버가 똑똑한 찾기 옵션을 지원할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 기본값은 참입니다. 이 키는 없어질 예정이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버에 연결할 때 사용할 포트(낡음)">
- <longdesc>연결할 포트 번호. 기본 포트는 2628입니다. 이 키는 없어질 예정이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r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전 서버(낡음)">
- <longdesc>연결할 사전 서버. 기본 서버는 dict.org입니다. 다른 서버에 대한 정보는 http://www.dict.org를 보십시오. 이 키는 없어질 예정이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baobab">
- <dir name="properties">
- <entry name="nosca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제외한 파티션">
- <longdesc>검사에서 제외할 파티션 목록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home_monit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홈 디렉토리 검사하기">
- <longdesc>홈디렉토리의 바뀐 사항을 감시하는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ui">
- <entry name="statusbar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상태 표시줄 표시">
- <longdesc>메인 창의 아래에 있는 상태 표시줄을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표시">
- <longdesc>메인 창의 도구 모음을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procman">
- <entry name="net_out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패킷 출력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_in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패킷 입력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ap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스왑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메모리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_color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CPU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_color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CPU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CPU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CPU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rame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프레임 색상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g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래프 바탕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rent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표시하는 탭을 저장합니다">
- <longdesc>시스템정보는 0, 프로세스 목록은 1, 리소스는 2, 디스크 목록은 3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a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어떤 프로세스를 볼 지 결정합니다. 0은 전부, 1은 사용자, 2는 활성 프로세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ks_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장치 목록 업데이트 간격 (천분의 일초 단위)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all_f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모든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지 여부('autofs'와 'procfs'같은 파일시스템 형식을 포함). 현재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의 모든 목록을 얻을 때 유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raph_update_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래프 업데이트 간격 (천분의 일초 단위)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pdate_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업데이트 간격 (천분의 일초 단위)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kill_dialo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를 죽일 때 경고 대화상자 보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mooth_refres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부드럽게 재생하기 켜기/끄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tre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의존성 보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높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창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memmapstree">
- <entry name="col_6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6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5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5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4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4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3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3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2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2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0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할 때 0번 열을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0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0번 열 너비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순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c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disktreenew">
- <entry name="columns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보기 컬럼 순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순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c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octree">
- <entry name="col_15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예상 메모리 사용량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5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예상 메모리 사용량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4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인자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4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인자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3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SELinux 보안 컨텍스트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3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SELinux 보안 컨텍스트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2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PID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2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PID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1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우선 순위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1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우선 순위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0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시작 시각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0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시작 시각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9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CPU 시간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9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CPU 시간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8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CPU %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8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CPU %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7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X 서버 메모리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7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X 서버 메모리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6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공유 메모리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6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공유 메모리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5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쓰기 가능 메모리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5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쓰기 가능 메모리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4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차지 메모리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4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차지 메모리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3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가상 메모리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3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가상 메모리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2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상태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2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상태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소유자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1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소유자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0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이름 열을 시작할 때 표시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_0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이름 열 너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순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umns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열 순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c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세스 보기 정렬 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screensaver">
- <entry name="lock_dialog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잠금 대화 상자의 테마">
- <longdesc>잠금 대화 상자에 사용할 테마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r_switch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전환 허용">
- <longdesc>잠금 풀기 창에서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바꾸는 옵션을 보이려면 이 값을 TRUE로 설정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out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 명령">
- <longdesc>로그아웃 단추를 누를 때 실행할 명령. 이 명령은 아무 상호 작용없이 로그아웃 하도록 합니다. 이 키 값은 "logout_enable"키 값이 TRUE로 설정되어 있을 때만 영향을 끼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out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 옵션 전 시간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가 켜진 후, 잠금 풀기 창에서 로그아웃 옵션이 나타나기 까지 시간. 이 키는 "logout_enable"키가 TRUE로 설정되어 있을 때 만 영향을 끼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out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 허용">
- <longdesc>지연 시간이 지난 후, 잠금 풀기 창에서 로그아웃 옵션을 제공하려면 이 값을 TRUE로 설정하십시오. 지연 시간 값은 "logout_delay" 키로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mbedded_keyboar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내장 키보드 명령어">
- <longdesc>"embedded_keyboard_enabled" 키가 참이면, 키보드 위젯을 창에 집어 넣을 때 이 명령을 실행합니다. 이 명령은 XEMBED 플러그 인터페이스에 맞아야 하고 표준 출력으로 창의 XID를 출력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mbedded_keyboard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를 창에 포함시킬 수 있음">
- <longdesc>이 값이 참이면 잠금을 풀 때 키보드를 창 안에 내장합니다. "keyboard_command" 키도 적당한 명령어로 설정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잠그기 전 시간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가 켜진 후 화면이 잠기는데 걸리는 시간(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마 바뀌기 전 시간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 테마가 바뀌기 전 실행 시간(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wer_management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원 관리에 들어갈 때까지 시간">
- <longdesc>전원 관리에 신호를 보내기까지의 입력이 없는 시간 (초 단위). 이 키 값은 전원 관리 에이전트가 설정하고 관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dl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션이 입력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기 전 시간">
- <longdesc>세션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되는 시간(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he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보호기 테마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에서 쓸 테마 목록이 이 키에 지정됩니다. "mode"키가 "blank-only"이면 무시됩니다. "mode"키가 "single"이면 테마 이름이, "random"이면 테마 목록이 지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보호기 선택 모드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에서 쓸 선택 모드. "blank-only"는 테마를 쓰지 않고 화면보호기를 켭니다. "single"은 화면보호기에서 ("themes"키에서 지정한) 하나의 테마만 씁니다. "random"은 아무 테마나 써서 화면보호기를 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활성화 되면 잠그기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가 켜질 때 화면을 잠그려면 이 값을 TRUE로 설정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dle_activation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션이 정지되면 시작">
- <longdesc>세션이 정지될 때 화면 보호기를 시작하려면 이 값을 TRUE로 설정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netstatus_applet">
- <entry name="config_to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네트워크 설정 도구">
- <longdesc>이 키는 네트워크 설정 도구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 등록 정보 대화 상자의 "설정" 단추를 누르면 지정한 이름의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. 이 설정 도구에 설정할 인터페이스를 인자로 넘겨야 한다면 %i을(를) 쓰면 됩니다. %i을(를)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바꿔서 설정 도구를 실행합니다. 예를 들어, gnome-system-tool의 네트워크 관리 도구는 --configure 인자를 통해 인터페이스 이름을 받습니다. 그러면 이 키의 값을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: "network-admin --configure %i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interfa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네트워크 인터페이스">
- <longdesc>네트워크 모니터에서 감시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keyring-manager">
- <dir name="keyring-editor">
- <dir name="columns">
- <entry name="m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뀐 시간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키 모음 항목 목록에 고친 시간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항목의 id를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키 모음 항목 목록에 id를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keyring-manager">
- <dir name="columns">
- <entry name="c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만든 날짜를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키 모음 항목 목록에 만든 시간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뀐 시간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키 모음 목록에 고친 시간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-time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잠금 시간제한 보이기">
- <longdesc>키 모음 목록에 잠금 시간제한 보이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-on-id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쓰지 않으면 잠금 보이기">
- <longdesc>키 모음 목록에 쓰지 않으면 잠금 보이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edit-2">
- <dir name="preferences">
- <dir name="syntax_highlighting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구문 강조 사용하기">
- <longdesc>구문 강조를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encodings">
- <entry name="shown_in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에 보일 인코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detect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인식 인코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int">
- <dir name="fonts">
- <entry name="print_font_numbers_pang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줄 번호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font_numb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줄 번호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font_header_pang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머릿말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font_hea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머릿말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font_body_pang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본문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font_bod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용 본문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age">
- <entry name="print_line_numb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줄 번호 인쇄">
- <longdesc>값이 0 이면 문서를 인쇄할 때 줄 번호를 넣지 않습니다. 그 외의 값이면 매 줄에 줄 번호를 인쇄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wrap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줄 바꿈 모드 인쇄">
- <longdesc>인쇄할 때 긴 줄을 바꾸는 방법을 지정합니다. 줄 바꿈을 하지 않으려면 "GTK_WRAP_NONE"을, 단어 단위로 줄 바꿈을 하려면 "GTK_WRAP_WORD"를, 글자 단위로 줄 바꿈을 하려면 "GTK_WRAP_CHAR"을 쓰십시오. 대소문자를 가리기 때문에 여기에 적힌대로 완벽히 입력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hea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머릿말 인쇄">
- <longdesc>문서를 인쇄할 때 문서 머릿말을 포함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nt_syntax_highlight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구문 강조 인쇄">
- <longdesc>문서를 인쇄할 때 구문 강조를 인쇄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ui">
- <dir name="recents">
- <entry name="max_recen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근 파일 최대 개수">
- <longdesc>"최근 파일" 메뉴에서 보여줄 최근에 열린 파일의 최대 개수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bottom_panel">
- <entry name="bottom_panel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래 모음 보임">
- <longdesc>편집 창 아래에 아래 패널을 보일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side_pane">
- <entry name="side_pane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장자리 창 보임">
- <longdesc>편집 창 왼쪽에 가장자리 창을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statusbar">
- <entry name="statusbar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상태 표시줄 보임">
- <longdesc>편집 창 아래에 상태 표시줄을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oolbar">
- <entry name="toolbar_buttons_sty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단추 스타일">
- <longdesc>도구 모음 단추의 스타일을 지정합니다. 시스템의 기본 스타일을 쓰려면 "GEDIT_TOOLBAR_SYSTEM"을, 아이콘만 보이려면 "GEDIT_TOOLBAR_ICONS"를 아이콘과 글자를 모두 보이려면 "GEDIT_TOOLBAR_ICONS_AND_TEXT"를, 아이콘 옆에 글자를 보이려면 "GEDIT_TOOLBAR_ICONS_BOTH_HORIZ"을 값으로 쓸 수 있습니다. 대소문자를 가리기 때문에 여기에 적힌대로 완벽히 입력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보임">
- <longdesc>편집 창에서 도구 모음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editor">
- <dir name="search_highlighting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찾기 강조 사용하기">
- <longdesc>gedit에서 찾은 글자 강조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ursor_position">
- <entry name="restore_cursor_posi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전 커서 위치 복구">
- <longdesc>파일을 읽을 때 이전 커서 위치를 저장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right_margin">
- <entry name="right_margin_posi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른쪽 여백 위치">
- <longdesc>오른쪽 여백의 위치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right_margi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른쪽 여백 표시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 오른쪽 여백을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bracket_matching">
- <entry name="bracket_match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일치하는 괄호 강조">
- <longdesc>gedit에서 일치하는 괄호를 강조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urrent_line">
- <entry name="highlight_current_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줄 강조">
- <longdesc>gedit에서 현재 줄을 강조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line_numbers">
- <entry name="display_line_numb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줄 번호 보기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 줄 번호를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uto_indent">
- <entry name="auto_inde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들여쓰기">
- <longdesc>자동 들여쓰기를 씁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abs">
- <entry name="insert_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공백 입력">
- <longdesc>탭 대신에 공백을 넣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abs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φâ¡ φü¼Ω╕░">
- <longdesc>탭 문자 대신에 보여줄 공백 문자의 개수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wrap_mode">
- <entry name="wrap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줄 바꿈 모드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서 긴 줄을 바꾸는 방법을 지정합니다. 줄 바꿈을 하지 않으려면 "GTK_WRAP_NONE"을, 단어 단위로 줄 바꿈을 하려면 "GTK_WRAP_WORD"를, 글자 단위로 줄 바꿈을 하려면 "GTK_WRAP_CHAR"을 쓰십시오. 대소문자를 가리기 때문에 여기에 적힌대로 완벽히 입력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undo">
- <entry name="max_undo_ac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입력취소 최대 개수">
- <longdesc>gedit에서 실행 취소나 다시 실행을 할 수 있는 최대 회수. "-1"이면 무제한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ndo_actions_lim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실행 취소 제한 (낡음)">
- <longdesc>gedit에서 실행 취소나 다시 실행을 할 수 있는 최대 회수. "-1"이면 무제한.2.12.0부터는 낡은 값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save">
- <entry name="writable_vfs_sche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쓰기 가능한 VFS 스킴">
- <longdesc>gedit에서 쓰기를 지원하는 VFS스킴 목록. 'file'스킴은 기본값으로 쓰기가 지원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save_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저장 간격">
- <longdesc>gedit에서 바뀐 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시간입니다."자동 저장"옵션이 켜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sa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저장">
- <longdesc>gedit에서 바뀐 파일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자동으로 저장하게 합니다. "자동 저장 간격"옵션에서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up_copy_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예비본 확장자">
- <longdesc>예비 파일 이름에 쓸 확장자나 꼬리표를 정합니다. "예비본 만들기" 옵션이 켜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reate_backup_cop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예비본 만들기">
- <longdesc>gedit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예비본을 만들도록 합니다. 예비본 파일의 확장자는 "예비본 확장자"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olors">
- <entry name="selection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된 색상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서 선택한 글자의 바탕색을 설정합니다. "기본 색상 쓰기" 옵션이 꺼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lected_text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된 글자 색상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서 선택한 글자의 색상을 정합니다. "기본 색상 쓰기" 옵션이 꺼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ext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자 색상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서 선택하지 않은 글자의 색상을 정합니다. "기본 색상 쓰기" 옵션이 꺼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색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서 선택되지 않은 글자의 바탕색을 설정합니다. "기본 색상 쓰기" 옵션이 꺼져 있어야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default_colo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색상 쓰기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 시스템의 기본 색상을 씁니다. 이 옵션이 꺼져 있으면 편집 영역의 색상에는 "바탕 색상", "글자 색상", "선택한 글자 색상", 선택된 색상" 옵션의 색상들을 씁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font">
- <entry name="editor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편집기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default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글꼴 쓰기">
- <longdesc>편집 영역에 gedit에서 지정한 글꼴 대신 시스템의 기본 고정폭 글꼴을 씁니다. 이 옵션이 꺼져 있으면 시스템 글꼴 대신 "편집기 글꼴" 옵션의 글꼴을 씁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plugins">
- <entry name="active-plugi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활성 플러그인">
- <longdesc>활성화된 플러그인 목록. 활성화된 플러그인의 "위치"를 포함합니다. 주어진 플러그인의 "위치"를 알아보려면 .gedit-plugin 파일을 보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filebrowser">
- <entry name="filter_patter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찾아보기 거르개 패턴">
- <longdesc>파일 찾아보기에 적용할 파일이름 거르개, filter_mode가 적용된 후에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ilter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찾아보기 거르개 모드">
- <longdesc>파일 찾아보기에서 걸러낼 파일을 결정합니다. 올바른 값은 다음입니다: none (아무것도 거르지 않기), hidden (숨김 파일만 거르기), binary (이진 파일만 거르기), hidden_and_binary (숨김 파일과 이진 파일 거르기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pen_at_first_do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첫번째 문서의 위치 설정">
- <longdesc>참이면 파일 찾아보기 플러그인을 맨 처음 사용할 때, 주어진 문서를 맨 처음 연 디렉토리를 봅니다.(즉 명령행에서 문서를 열거나, 노틸러스에서 문서를 여는 따위의 동작에도 적용됩니다.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on_load">
- <entry name="enable_remo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원격 위치 저장 사용">
- <longdesc>원격 위치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rtual_ro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찾아보기 가상 최상위 디렉토리">
- <longdesc>onload/tree_view가 참이고 파일 찾아보기 플러그인이 시작될 때 가상 최상위 디렉토리로 사용할 위치. 가상 최상위 디렉토리는 항상 실제 최상위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이여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o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찾아보기 최상위 디렉토리">
- <longdesc>onload/tree_view가 참이고 파일 찾아보기 플러그인이 시작될 때 최상위 디렉토리로 사용할 위치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ree_vie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폴더보기로 열기">
- <longdesc>책갈피 보기 대신 폴더 보기모드로 파일 찾아보기 플러그인이 시작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power-manager">
- <entry name="networkmanager_slee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절전 상태에서 네트워크 관리자에 연결하고 있을 지 여부.">
- <longdesc>절전 혹은 최대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 네트워크 관리자에 연결을 끊고 돌아왔을 때 다시 연결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ptop_panel_dim_brightnes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입력이 없을 때 화면 밝기">
- <longdesc>세션에 입력이 없을 때 노트북 패널 화면 밝기. use_time_for_policy가 참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time_a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동작을 실행할 때 남은 시간">
- <longdesc>위험 동작을 실행할 배터리 남은 시간. use_time_for_policy가 참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time_critic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험할 때 남은 시간">
- <longdesc>위험하다고 할 배터리 남은 시간. use_time_for_policy가 참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time_very_l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매우 낮을 때 남은 시간">
- <longdesc>매우 낮다고 할 배터리 남은 시간. use_time_for_policy가 참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time_l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낮을 때 남은 시간">
- <longdesc>낮다고 할 배터리 남은 시간. use_time_for_policy가 참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percentage_a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퍼센트 값에 따라 동작">
- <longdesc>위험 동작을 실행할 퍼센트 값. use_time_for_policy가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percentage_critic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험하다고 할 퍼센트 값">
- <longdesc>배터리가 위험하다고 할 퍼센트 값. use_time_for_policy가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percentage_very_l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매우 낮다고 할 퍼센트 값">
- <longdesc>배터리가 매우 낮다고 할 퍼센트 값. use_time_for_policy가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percentage_l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낮다고 할 퍼센트 값">
- <longdesc>배터리가 낮다고 할 퍼센트 값. use_time_for_policy가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on_hibern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대절전일 때 화면 잠그기">
- <longdesc>최대절전에서 컴퓨터가 깨어났을 때 화면을 잠글 지 여부. lock_use_screensaver_settings이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on_suspe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대기할 때 화면 잠그기">
- <longdesc>절전에서 컴퓨터가 깨어났을 때 화면을 잠글 지 여부. lock_use_screensaver_settings이 거짓일 경우에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on_blank_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끌 때 화면 잠그기">
- <longdesc>화면이 꺼졌을 때 화면을 잠글 지 여부. lock_use_screensaver_settings 값이 거짓일 경우에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_use_screensaver_settin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놈 화면 보호기 잠그기 설정 사용">
- <longdesc>최대절전, 절전 또는 화면 꺼짐 후에 화면을 잠글 지 여부를 결정할 때, 그놈 화면 보호기의 화면 잠그기 설정을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ups_l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UPS 전력 낮음 동작">
- <longdesc>UPS 전원이 적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hibernate", "suspend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ups_critic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UPS 위험 저전력 동작">
- <longdesc>UPS 전원이 위험하게 적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hibernate", "suspend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attery_critic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위험 저전력 동작">
- <longdesc>배터리가 위험하게 적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hibernate", "suspend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attery_sleep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활성화 때 최대절전, 절전 또는 아무 것도 안함의 여부">
- <longdesc>컴퓨터에 입력이 없을 때 실행할 절전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hibernate", "suspend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ac_sleep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활성화 때 최대절전, 절전 또는 아무 것도 안함의 여부">
- <longdesc>컴퓨터에 입력이 없을 때 실행할 절전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hibernate", "suspend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attery_button_l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일 때 노트북 덮개 닫기 동작">
- <longdesc>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suspend", "hibernate", "blank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ac_button_l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일 때 노트북 덮개 닫기 동작">
- <longdesc>노트북 덮개를 닫았을 때 AC 전원이 연결되었을 경우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suspend", "hibernate", "blank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utton_po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원 단추 동작">
- <longdesc>시스템 전원 단추를 눌렀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suspend", "hibernate", "interactive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utton_hibern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대절전 단추 동작">
- <longdesc>시스템 최대절전 단추를 눌렀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suspend", "hibernate", "interactive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button_suspe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절전 단추 동작">
- <longdesc>시스템 절전 단추를 눌렀을 때 동작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suspend", "hibernate", "interactive", "shutdown" 그리고 "nothing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dpms_sleep_metho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전원에서 화면을 끌 때 사용할 방법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이 들어왔을 때 화면을 끌 때 사용할 DPMS 기능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default", "standby", "suspend", "off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sleep_disp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를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 절전 제한 시간">
- <longdesc>컴퓨터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(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바꾸기 전에) 비활성화로 할 시간 (초 단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sleep_comput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를 사용할 때 컴퓨터 절전 제한 시간">
- <longdesc>컴퓨터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(절전 모드로 바꾸기 전에) 비활성화로 할 시간 (초 단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brightness_kb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일 때 키보드 밝기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키보드 밝기. 사용 가능한 값은 0에서 100 사이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brightnes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일 때 LCD 밝기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화면 밝기. 사용 가능한 값은 0에서 100 사이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dpms_sleep_metho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에서 화면을 끌 때 사용할 방법">
- <longdesc>AC 전원이 들어왔을 때 화면을 끌 때 사용할 DPMS 기능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default", "standby", "suspend", "off"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sleep_disp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전원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 절전 제한 시간">
- <longdesc>컴퓨터가 AC 전원을 사용할 때 디스플레이를 절전 모드로 바꿀 시간 (초 단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sleep_comput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을 사용할 때 컴퓨터 절전 제한 시간">
- <longdesc>컴퓨터가 AC 전원을 사용할 때 (절전 모드로 바꾸기 전에) 비활성화로 할 시간 (초 단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brightness_kb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일 때 키보드 밝기">
- <longdesc>AC 전원을 사용할 때 키보드 밝기. 사용 가능한 값은 0에서 100 사이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brightnes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일 때 LCD 밝기">
- <longdesc>AC 전원을 사용할 때 화면 밝기. 사용 가능한 값은 0에서 100 사이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icon_poli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알림 아이콘 보일 때">
- <longdesc>알림 아이콘의 표시 옵션. 가능한 값은 "never", "critical", "change", "present" 그리고 "always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otify_low_po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원이 낮을 때 알리기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이 떨어졌을 때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otify_hal_err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AL 오류가 발생했을 때 알리기">
- <longdesc>절전 또는 최대절전 실패했을 때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otify_fully_charg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알리기">
- <longdesc>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otify_ac_adapt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어댑터가 빠졌을 때 알리기">
- <longdesc>AC 어탭터가 빠졌을 때 사용자에게 알릴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an_hibern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대절전 활성화됨">
- <longdesc>사용자가 컴퓨터를 최대절전 모드로 바꿀 권한이 있는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an_suspe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절전 활성화됨">
- <longdesc>사용자가 컴퓨터를 절전 모드로 바꿀 권한이 있는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ambie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조도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밝기를 바꿉니다">
- <longdesc>조도 센서를 이용해 화면 밝기를 자동으로 바꿀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state_chan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상태 변화에 따라 밝기를 현재 단계로 바꿉니다">
- <longdesc>AC 전원과 배터리 전원 사이에서 바뀔 때 화면 밝기를 바꿀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dim_on_id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비활성화 기간 후에 화면을 어둡게 함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컴퓨터에 입력이 없을 때 전원 절약을 위해 화면을 어둡게 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_dim_on_id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을 사용할 때 비활성화 기간 후에 화면을 어둡게 함">
- <longdesc>AC 전원을 사용할 때 컴퓨터에 입력이 없으면 전원절약을 위해 화면을 어둡게 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heck_type_cp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절전모드 전 CPU 부하 점검">
- <longdesc>입력 없음 동작을 하기 전에 CPU 사용량을 검사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time_for_poli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에 따른 알림 사용의 여부">
- <longdesc>시간 값에 따라 알림을 사용할 지 여부. 거짓일 경우, 퍼센트 값에 따라 사용합니다. 퍼센트 값에 따라 사용하면 잘못된 ACPI BIOS에서도 제대로 동작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licy_suppression_time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원상복귀한 후에 전원관리 정책을 막는 시간 (초 단위)">
- <longdesc>원상복귀한 후에, 그놈 전원 관리자는 몇 초동안 전원관리 정책 동작을 막습니다. 여러가지 메세지들이 안정되고 HAL을 새로 고치기 위해서 그렇게 합니다. 보통 5초면 그 동작을 충분히 할 수 있고, 5초면 사용자가 헷갈릴 만큼 길지도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actions_in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에서 절전모드 및 최대절전 모드 허용">
- <longdesc>알림 영역의 메뉴에서 절전 및 최대절전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raph_data_max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래프에 표시할 최대 시간.">
- <longdesc>그래프의 가로축에 표시할 최대 시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ate_exponential_average_fact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속도 계산할 때 감쇠치">
- <longdesc>지수함수 가중치를 둬서 속도의 평균을 계산할 때 사용할 감쇠치. 이 값을 키우면 속도를 계산할 때 감쇠 효과가 커지고, 그러면 남은 시간을 좀 더 정확하게 계산하지만 그래프의 업데이트를 자주 못하게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lowpower_batte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를 사용할 때 저전력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노트북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시스템 절전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lowpower_up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UPS를 사용할 때 저전력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UPS 전원을 사용할 때 시스템 절전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lowpower_a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을 사용할 때 저전력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AC 전원 상태일 때 시스템 절전 모드를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ttery_event_when_clos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노트북 덮개가 닫히고 전원이 빠진 경우에 배터리 이벤트를 발생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노트북 덮개가 이전에 닫히고 AC 전원이 나중에 빠졌을 경우에, 배터리 덮개 닫힘 이벤트를 (예를 들어 '배터리 전원 사용중에 노트북 덮개 닫힘') 발생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gnore_inhibit_reques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DBUS를 통해 보내는 전원관리 금지 요청을 무시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DBUS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이 보내는 전원관리 금지 요청을 무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nvalid_time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원 동작에 있어서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시간 제한">
- <longdesc>전원 동작에 있어서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시간 제한 (천분의 일초 단위). 전원 플러그를 뺄 때 '배터리 위험' 메세지가 나오면 이 갑을 늘리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soun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를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전원이 위험하게 적을 경우 혹은 전원관리 금지 요청이 전원관리 정책 동작을 금지하는 경우, 소리를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freq_battery_performan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cpufreq 퍼포먼스 값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프로세서 클럭을 바꿀 때 사용할 cpufreq 퍼포먼스 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freq_battery_poli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cpufreq 정책">
- <longdesc>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때 프로세서 클럭을 조정할 때 사용할 cpufreq 정책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ondemand", "conservative", "powersave", "userspace", "performance", "nothing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freq_ac_performan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을 사용할 때 cpufreq 퍼포먼스 값">
- <longdesc>AC 전원을 사용할 때 프로세서 클럭을 바꿀 때 사용할 cpufreq 퍼포먼스 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freq_ac_poli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AC 전원을 사용할 때 cpufreq 정책">
- <longdesc>AC 전원을 사용할 때 프로세서 클럭을 조정할 때 사용할 cpufreq 정책. 사용할 수 있는 값은 "ondemand", "conservative", "powersave", "userspace", "performance", "nothing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freq_consider_ni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우선순위가 조정된 프로세스를 프로세서 사용량으로 취급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우선순위를 변경한 프로세스가 있으면, 그 프로세스의 절대적인 사용량 퍼센트가 클럭 변경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긴 하지만 이것때문에 클럭수가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istics_graph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통계 창에서 표시할 그래프의 종류 기본값">
- <longdesc>통계 창에서 표시할 그래프의 종류 기본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istics_show_even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통계 창에서 이벤트를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통계 창에서 이벤트를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istics_show_lege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통계 창에서 범례를 표시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통계 창에서 범례를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istics_show_axis_labe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통계 창에서 축을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통계 창에서 축을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ptop_uses_external_monit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외부 모니터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노트북을 설정할 지 여부">
- <longdesc>도크나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의 어둡게 하기 동작과 DPMS 끄기 동작을 하지 않도록 설정할 지 여부. 대부분의 노트북과 데스크탑 사용자는 여기에서 거짓이라고 설정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recalled_battery_warn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잘못된 배터리에 대해서 리콜 배터리 경고를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잘못된 배터리에 대해서 리콜 배터리 경고를 표시할 지 여부. 배터리가 올바르다고 확신하는 경우에만 이 값을 거짓으로 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cpufreq_ui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PU 클럭 변화를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지 여부">
- <longdesc>CPU 클럭 변화를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지 여부. 특정 시스템에는 이 값을 설정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conf-editor">
- <entry name="bookmark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책갈피">
- <longdesc>gconf 편집기 폴더 책갈피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evince">
- <entry name="override_restric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문서 제한 무시하기">
- <longdesc>복사하기나 인쇄 같은 문서제한을 무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eog">
- <dir name="ui">
- <entry name="info_colle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모음에 대한 그림 정보를 보입니다/감춥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nfo_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한 장에 대한 그림 정보를 보입니다/감춥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mage_colle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모음창을 보입니다/감춥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us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에서 상태 표시줄을 보이거나 감춥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에서 도구 모음을 보이거나 감춥니다.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full_screen">
- <entry name="secon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다음 그림을 표시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 (초 단위)">
- <longdesc>0보다 큰 값이면 다음 그림으로 자동으로 넘어갈 때까지 유지할 시간입니다. 0이면 자동 넘어가기를 끕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psca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초에 100%보다 크게 허용합니다">
- <longdesc>거짓이면, 최초에 작은 이미지를 화면에 맞게 늘리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순서를 반복합니다">
- <longdesc>무한 루프에서 그림 시퀀스를 반복해서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window">
- <entry name="geometry_singlet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지막 그림 창 위치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eometry_colle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지막 그림 모음 창 위치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pen_new_wind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그림을 엽니다">
- <longdesc>그림을 열면 (기존 창 안의 그림을 바꾸는 대신) 새 창을 열어야 하는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view">
- <entry name="trans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투명 색">
- <longdesc>transparency 키 값이 COLOR일 경우, 이 키 값이 투명한 부분에 사용될 색이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ransparen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투명한 부분 나타내기">
- <longdesc>투명한 부분을 어떻게 나타낼 지 지정합니다. 가능한 값은 CHECK_PATTERN, COLOR, 그리고 NONE입니다. COLOR의 경우 trans_color 키에서 어떤 색을 쓸 지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rot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방향">
- <longdesc>EXIF 방향 정보에 따라 그림을 자동으로 회전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nterpol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인터폴레이션">
- <longdesc>확대/축소에서 그림을 인터폴레이션할 지 여부. 인터폴레이션을 하면 화질이 좋아지지만 하지 않는 경우보다 느립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yelp">
- <entry name="fixed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고정폭 텍스트 글꼴">
- <longdesc>고정폭 텍스트에 쓸 글꼴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ariable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텍스트 글꼴">
- <longdesc>가변폭 텍스트에 쓸 글꼴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system_fon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스템 글꼴 사용">
- <longdesc>시스템의 기본 글꼴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care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캐럿 사용">
- <longdesc>페이지를 볼 때 키보드로 움직이는 캐럿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nautilus">
- <dir name="desktop">
- <entry name="trash_icon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 휴지통 아이콘 이름">
- <longdesc>바탕 화면의 휴지통 아이콘의 이름을 직접 지정하려면 여기서 설정하면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ome_icon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 홈 아이콘 이름">
- <longdesc>바탕 화면의 홈 아이콘의 이름을 직접 지정하려면 여기서 설정하면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puter_icon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 컴퓨터 아이콘 이름">
- <longdesc>바탕 화면의 컴퓨터 아이콘의 이름을 직접 지정하려면 여기서 설정하면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work_icon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에 네트워크 서버 아이콘을 보입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네트워크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olumes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에 마운트한 볼륨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마운트한 볼륨에 연결된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rash_icon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에 휴지통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휴지통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puter_icon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에 컴퓨터 아이콘을 보입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컴퓨터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ome_icon_visi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에 홈 아이콘을 보입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홈 폴더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sidebar_panels">
- <dir name="tree">
- <entry name="show_only_directori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폴더보기 가장자리 창에 폴더만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폴더 가장자리 창에서 폴더만 보여줍니다. 아니면, 폴더와 파일을 모두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list_view">
- <entry name="default_column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목록 보기에서 열 순서 기본값">
- <longdesc>목록 보기에서 열 순서 기본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visible_colum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목록 보기에서 표시할 열 목록 기본값">
- <longdesc>목록 보기에서 표시할 열 목록 기본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zoom_leve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목록 확대 수준">
- <longdesc>목록 보기의 기본 확대 수준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ort_in_reverse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정렬 순서 거꾸로">
- <longdesc>참이면, 새 창에서 파일을 반대로 정렬합니다. 즉, 이름으로 정렬할 경우에 "a"부터 "z" 순서로 정렬하는 게 아니라 "z"에서 "a" 순서로 정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ort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정렬 순서">
- <longdesc>목록 뷰에서 각 항목들의 기본 정렬 순서. 가능한 값은 "name", "size", "type", "modification_date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icon_view">
- <entry name="default_zoom_leve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아이콘 확대 수준">
- <longdesc>아이콘 보기의 기본 확대 수준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use_manual_lay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수동 배치를 씁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새 창에서 기본으로 수동 배치를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bels_beside_ic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이콘 옆에 레이블 쓰기">
- <longdesc>참이면, 레이블을 아이콘 아래가 아니라 옆에 놓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use_tighter_lay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빈틈없는 배치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새 창에서 아이콘이 기본적으로 빈틈없이 배치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ort_in_reverse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정렬 순서 거꾸로">
- <longdesc>참이면, 새 창에서 파일을 반대로 정렬합니다. 즉, 이름으로 정렬할 경우에 "a"부터 "z" 순서로 정렬하는 게 아니라 "z"에서 "a" 순서로 정렬합니다;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면 오름차 순이 아니라 내림차 순으로 정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ort_or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정렬 순서">
- <longdesc>아이콘 뷰에서 각 항목들의 기본 정렬 순서. 가능한 값은 "name", "size", "type", "modification_date", "emblems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ap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이콘의 표시가능 캡션 목록">
- <longdesc>아이콘 뷰와 바탕 화면에서 아이콘 밑에 들어갈 캡션 목록. 실제 캡션의 개수는 확대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. 가능한 값은: "size", "type", "date_modified", "date_changed", "date_accessed", "owner", "group", "permissions", "octal_permissions" 그리고 "mime_type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eferences">
- <entry name="side_pane_vie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장자리 창 뷰">
- <longdesc>새로 연 창에서 가장자리 창 뷰를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rt_with_side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가장자리 창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새로 연 창에 가장자리 창이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rt_with_status_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상태 표시줄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새로 연 창에 상태 표시줄이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rt_with_location_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위치 표시줄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새로 연 창에 위치 표시줄이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rt_with_tool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에서 도구 모음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새로 연 창에 도구 모음이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bar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장자리 창의 너비">
- <longdesc>새 창에서 가장자리 창의 기본 너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ate_form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데이터 형식">
- <longdesc>파일 날짜의 형식. 가능한 값은 "locale", "iso", "informal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folder_vie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폴더 뷰어">
- <longdesc>폴더를 열었을 때, 따로 특정 폴더에 대한 뷰를 선택하지 않는 한 이 뷰어가 사용됩니다. 가능한 값은 "list_view"와 "icon_view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_pane_background_file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가장자리 창 바탕 파일이름">
- <longdesc>기본 가장자리 창의 바탕그림 파일이름. side_pane_background_set이 참일 경우에만 사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_pane_background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가장자리 창 바탕색">
- <longdesc>기본 가장자리 창의 바탕그림 파일이름. side_pane_background_set이 참일 경우에만 사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de_pane_background_se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지정 가장자리 창 바탕 모음">
- <longdesc>사용자 지정 기본 가장자리 창 바탕그림을 설정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file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바탕 파일이름">
- <longdesc>기본 폴더의 바탕그림 파일이름. background_set이 참일 경우에만 사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바탕색">
- <longdesc>기본 폴더의 바탕그림 파일이름. background_set이 참일 경우에만 사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se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지정 바탕 모음">
- <longdesc>사용자 지정 폴더 바탕그림을 설정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arch_bar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찾기 표시줄 찾기의 기준">
- <longdesc>찾기 표시줄에서 파일을 찾을 때 찾기 기준. "search_by_text"이면 노틸러스는 파일이름만 가지고 찾습니다. "search_by_text_and_properties"면, 노틸러스는 파일 이름과 파일 등록 정보로 찾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ktop_is_home_di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노틸러스에서 사용자의 홈 폴더를 바탕 화면으로 사용합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에서 사용자의 홈 폴더를 바탕 화면으로 사용합니다. 거짓이면 ~/Desktop을 바탕 화면으로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ktop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화면 글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deskt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노틸러스가 바탕 화면 그리기를 담당합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가 바탕 화면의 아이콘을 그립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rt_directories_fir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에서 폴더를 먼저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의 아이콘 뷰와 목록 뷰에서 폴더를 파일보다 먼저 보여 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advanced_permiss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속성 대화 상자에서 고급 권한을 보여줍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에서 파일 권한을 더욱 유닉스 방식으로 괴상한 옵션까지 편집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eview_sou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우스를 아이콘 위에 올려 놓을 때 소리를 미리 들을 지 여부">
- <longdesc>마우스를 파일 아이콘 위에 올렸을 때 사운드 파일 미리 듣기를 위한 속도 트레이드오프. "always"로 설정되면 파일이 원격 서버에 있을 경우에도 사운드를 연주합니다. "local_only"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파일만 연주합니다. "never"이면 사운드 미리 듣기를 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rectory_lim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폴더 하나에서 처리할 최대 파일 개수">
- <longdesc>이 크기를 넘어가는 크기의 폴더는 이 크기에 맞게 잘려질 것입니다. 이 설정의 목적은, 크기가 아주 큰 폴더를 열다가 힙을 모두 사용해 버려서 노틸러스가 죽어 버리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. 음수 값은 한계가 없음을 의미합니다. 이 값은 정확한 값이 아니라 근사값입니다 -- 폴더를 청크 단위로 읽기 때문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humbnail_lim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썸네일을 만들 그림의 최대 크기">
- <longdesc>이 크기(바이트 단위)보다 큰 그림은 썸네일을 만들지 않습니다. 이 설정의 목적은 큰 그림을 썸네일로 만들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메모리를 많이 쓰기 때문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image_thumbnai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파일의 썸네일을 보여줄 때">
- <longdesc>이미지 파일을 썸네일로 보여줄 때 속도 트레이드오프. "always"로 설정되면 파일이 원격 서버에 있을 경우에도 썸네일로 만들어 보여줍니다. "local_only"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파일만 썸네일로 보여줍니다. "never"이면 일반적인 아이콘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노틸러스 테마 (사용 안 함)">
- <longdesc>사용할 노틸러스 테마의 이름. 노틸러스 2.2에서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. 대신에 아이콘 테마를 사용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utable_text_activ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실행 가능 텍스트 파일을 클릭했을 때 어떻게 할 지">
- <longdesc>실행 가능한 텍스트 파일을 (한 번 혹은 두 번 클릭으로) 활성화했을 때 어떻게 할 지 정합니다. 가능한 값으로, "launch"는 프로그램으로 실행하고, "ask"는 대화 상자에서 물어보고, "display"는 텍스트 파일로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lick_polic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을 실행하거나 열 때 쓰는 클릭 방법">
- <longdesc>가능한 값으로, "single"은 한 번 클릭하면 파일을 실행하고, "double"은 더블 클릭해야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directory_item_coun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언제 디렉토리 안에 항목의 개수를 보여줄 지">
- <longdesc>폴더 안의 항목 개수를 보여줄 때 속도 트레이드오프. "always"로 설정되면 언제나 (원격 서버에 있을 경우에도) 항목 개수를 보여줍니다. "local_only"는 로컬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만 항목 개수를 보여줍니다. "never"이면 항목 개수를 세어 보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icon_tex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이콘에 미리 보기 텍스트를 보여줄 때">
- <longdesc>파일 아이콘으로 텍스트 파일 내용의 미리 보기를 보여줄 때 속도 트레이드오프. "always"로 설정되면 파일이 원격 서버에 있을 경우에도 미리 보기를 보여줍니다. "local_only"는 로컬 파일 시스템에 있는 파일만 보여줍니다. "never"이면 미리 보기를 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dele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즉시 지우기를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에서 파일을 즉시 지울 수 있습니다. 휴지통으로 옮기지 않습니다. 이 기능은 위험하므로, 주의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nfirm_tras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을 휴지통에 넣을 때 확인 질문을 할 것인지 여부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노틸러스에서 파일을 휴지통에 버릴 때 확인 질문을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ways_use_location_ent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경로막대 대신에 위치 막대를 항상 씁니다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 노틸러스 찾아보기 창은 항상 위치 도구모음에 경로 막대대신 입력 항목을 사용하도록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ways_use_brows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통적인 노틸러스 방식을 사용합니다. 모든 창이 브라우저가 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모든 노틸러스 창이 브라우저 창이 됩니다. 2.6 버전보다 앞 버전에서 노틸러스는 이렇게 동작했었고, 일부 사람들은 이런 방식을 더 좋아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window_list_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maximum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목록 최대 크기">
- <longdesc>이 키는 애플릿이 요청할 최대 너비입니다. 최대 너비 설정은 큰 패널에서 애플릿의 크기를 제한할 때 쓰입니다. 이런 경우 제한하지 않으면 애플릿이 가장자리 패널같은 곳에서 전체 패널 가득히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inimum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목록 최소 크기">
- <longdesc>이 키는 창 목록이 요청할 최소 너비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unminimized_wind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최소화 해제할 때 창을 현재 작업 공간으로 옮김">
- <longdesc>참이면, 창의 최소화를 해제할 때 현재 작업 공간으로 창을 불러 옵니다. 거짓이면 그 창의 작업 공간으로 작업 공간을 바꿉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roup_wind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모을 상황">
- <longdesc>언제 같은 프로그램의 창을 창 표시줄에서 모을 것인지 결정합니다. 쓸 수 있는 값은 "never", "auto" 그리고 "always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all_work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작업 공간의 창 보여주기">
- <longdesc>참이면, 모든 작업 공간의 창을 창 표시줄에서 보이고. 거짓이면 현재 작업 공간에 있는 창만 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workspace_switcher_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num_r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 공간 바꾸기의 줄 개수">
- <longdesc>이 키는 작업 공간 바꾸기 프로그램에서 작업 공간을 몇 줄(가로 방향일 경우) 혹은 몇 열(세로 방향일 경우)로 보여줄 지 지정합니다. 이 키는 display_all_workspaces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all_work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작업 공간 보여 주기">
- <longdesc>참이면, 작업 공간 바꾸기 프로그램에서 모든 작업 공간을 보여줍니다. 거짓이면 현재 작업 공간만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workspace_na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 공간 이름 보여 주기">
- <longdesc>참이면, 작업 공간 바꾸기 프로그램에서 작업 공간의 이름을 보여줍니다. 거짓이면 작업 공간에 들어 있는 창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fish_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rot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로 패널에서 회전">
- <longdesc>참이면, 세로 패널에서 물고기 애니메이션도 세로 방향으로 회전해서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레임마다 쉬는 시간">
- <longdesc>이 키는 각 프레임을 보여줄 간격을 지정합니다 (초 단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ra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물고기 애니메이션의 프레임 수">
- <longdesc>물고기 애니메이션에서 보여줄 프레임 수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클릭했을때 실행할 명령">
- <longdesc>이 키는 물고기를 클릭했을때 실행할 명령을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물고기의 애니메이션 픽스맵">
- <longdesc>이 키는 물고기 애플릿에서 보여 줄 애니메이션의 픽스맵 파일이름을 지정합니다. 픽스맵 디렉토리에 대한 상대 경로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물고기의 이름">
- <longdesc>이름 없는 물고기는 아주 멍청한 물고기일 뿐입니다. 당신의 물고기에 이름을 지어 생명을 불어 넣으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clock_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internet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터넷 시각 사용">
- <longdesc>그놈 2.6에서는 이 키를 사용하지 않기를 권합니다. 대신에 'format' 키를 사용합니다. 이 스키마는 과거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유지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nix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유닉스 시각 사용">
- <longdesc>그놈 2.6에서는 이 키를 사용하지 않기를 권합니다. 대신에 'format' 키를 사용합니다. 이 스키마는 과거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유지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our_form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 형식">
- <longdesc>그놈 2.6에서는 이 키를 사용하지 않기를 권합니다. 대신에 'format' 키를 사용합니다. 이 스키마는 과거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유지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week_numb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달력에서 몇 번째 주인지 표시">
- <longdesc>참이면, 달력에서 몇 번째 주인지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nfig_to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 설정 도구">
- <longdesc>이 키는 시간을 설정할 때 실행할 프로그램을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mt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UTC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협정 세계시(UTC) 시간대의 시각을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toolti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설명에 날짜 표시">
- <longdesc>참이면, 마우스 포인터를 애플릿 위에 놓았을 때 설명에서 날짜를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d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계에 날짜 표시">
- <longdesc>참이면, 시계에 시간과 더불어 날짜를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secon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에 초 표시">
- <longdesc>참이면, 시간에 초를 보여줍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stom_form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설정 시계 형식">
- <longdesc>이 키는 format 키를 "custom"이라고 할 때 시계 애플릿이 사용할 시각 형식입니다. strftime()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특정 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rm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 형식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panel">
- <dir name="objects">
- <entry name="action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명령 단추 종류">
- <longdesc>이 단추의 액션 타입. 가능한 값은 "lock", "logout", "run", "search", 그리고 "screenshot"입니다. 이 키는 object_type 키가 "action-apple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uncher_loc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실행 아이콘 위치">
- <longdesc>실행 아이콘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는 .desktop 파일의 위치. 이 키는 object_type 키가 "launcher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내용 경로">
- <longdesc>메뉴 내용을 만들 경로. 이 키는 use_menu_path 키가 참이고 object_type 키가 "menu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menu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내용에 사용자 지정 경로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menu_path 키를 메뉴 내용 읽어들일 경로로 사용합니다. 거짓이면 menu_path 키를 무시합니다. 이 설정은 object_type 키가 "menu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stom_ic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브젝트의 단추에 쓸 아이콘">
- <longdesc>오브젝트의 단추에 아이콘으로 사용할 이미지 파일의 위치. 이 키는 object_type 키가 "drawer-object"이거나 "menu-object"이고 use_custom_icon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custom_ic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브젝트의 단추에 사용자 지정 아이콘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custom_icon 키를 이 단추의 사용자 설정 아이콘으로 사용합니다. 거짓이면, custom_icon 키를 무시합니다. 이 설정은 object_type 키가 "menu-object"이거나 "drawer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ti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랍 혹은 메뉴에 표시할 설명">
- <longdesc>이 서랍 혹은 메뉴의 설명으로 보여줄 텍스트. 이 키는 object_type 키가 "drawer-object" 혹은 "menu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ttached_toplevel_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랍에 붙어 있는 패널">
- <longdesc>이 서랍에 붙어 있는 패널의 ID. 이 키는 object_type 키가 "drawer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onobo_i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의 보노보 IID">
- <longdesc>애플릿의 보노보 구현 ID - 예를 들어 "OAFIID:GNOME_ClockApplet". 이 키는 object_type이 "bonobo-object"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브젝트를 패널에 고정">
- <longdesc>참이면, "고정 해제" 메뉴 항목을 사용해 오브젝트의 고정 상태를 풀어야 애플릿을 옮길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right_stic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치를 아래쪽/오른쪽 끝에서부터 상대적인 값으로 해석">
- <longdesc>참이면 오브젝트의 위치를 패널의 오른쪽(세로인 경우 아래쪽) 가장자리부터 상대적인 값으로 해석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si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에서 오브젝트의 위치">
- <longdesc>이 패널 오브젝트의 위치. 이 위치는 패널의 왼쪽(세로인 경우 위쪽)에서부터 픽셀수로 지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plevel_i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오브젝트가 들어 있는 최상위 패널">
- <longdesc>이 오브젝트가 들어 있는 최상위 패널의 ID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bject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오브젝트 종류">
- <longdesc>이 패널 오브젝트의 종류. 가능한 값은 - "drawer-object", "menu-object", "launcher-object", "bonobo-applet", "action-applet" 그리고 "menu-bar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oplevels">
- <entry name="animation_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니매이션 속도">
- <longdesc>패널 애니메이션이 이루어지는 속도. 가능한 값은 "slow", "medium" 그리고 "fast"입니다. 이 키는 enable_animation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hide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숨겨졌을 때 보여줄 픽셀 수">
- <longdesc>패널이 자동으로 구석에 숨겨졌을 때 보여줄 픽셀 수를 지정합니다. 이 키는 auto_hide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nhid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자동 숨기기 해제 시간">
- <longdesc>마우스가 포인터가 패널 구역에 들어오고, 패널이 자동으로 다시 나타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을 지정합니다 (천분의 일초 단위). 이 키는 auto_hide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id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자동 숨기기 시간">
- <longdesc>마우스 포인터가 패널 구역을 벗어나고, 패널이 자동으로 숨겨질 때까지의 지연 시간을 지정합니다 (천분의 일초 단위). 이 키는 auto_hide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arr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숨기기 단추 위에 화살표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숨기기 단추에 화살표를 그립니다. 이 키는 enable_buttons 키가 참일 때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butt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숨기기 단추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의 양쪽 끝에 단추가 만들어집니다. 그 단추를 누르면 패널이 가장자리로 들어가고 단추만 남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anima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니메이션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이 패널의 숨기기 및 숨기기 해제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고 애니메이션으로 이루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hi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으로 패널을 구석으로 감춥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마우스 포인터가 패널을 벗어났을 때, 자동으로 패널을 화면 구석으로 숨깁니다. 포인터를 그 구석으로 움직이면 패널이 다시 나타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y_center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로 축 기준으로 패널을 가운데 둡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y 설정을 무시하고 화면의 세로축의 중앙에 패널을 놓습니다. 패널의 크기가 바뀌어도 그 위치에 있습니다 - 즉, 패널은 양쪽 모든 방향으로 늘어납니다. 거짓이면, y 설정이 패널의 위치를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x_center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로 축 기준으로 패널을 가운데 둡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x 키를 무시하고 화면의 가로축의 중앙에 패널을 놓습니다. 패널의 크기가 바뀌어도 그 위치에 있습니다 - 즉, 패널은 양쪽 모든 방향으로 늘어납니다. 거짓이면, x 키가 패널의 위치를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의 세로 좌표">
- <longdesc>세로축에서 패널의 위치. 이 키는 확장하지 않은 모드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. 확장한 모드에서 이 키는 무시하고 패널은 패널 방향 키에 따라 화면 가장자리에 놓여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x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의 가로 좌표">
- <longdesc>가로축에서 패널의 위치. 이 키는 확장하지 않은 모드에서만 의미가 있습니다. 확장한 모드에서 이 키는 무시하고 패널은 패널 방향 키에 따라 화면 가장자리에 놓여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크기">
- <longdesc>패널의 높이 (세로 패널의 경우 너비). 패널은 실행할 때 글꼴 크기와 그 외 사항들을 이용해 최소 크기를 결정합니다. 최대 크기는 화면 높이(혹은 너비)의 사분의 일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rient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방향">
- <longdesc>패널의 방향. 가능한 값은 "top", "bottom", "left", "right"입니다. 확장 모드에서 이 키는 패널이 놓인 화면 가장자리가 어디인지를 나타냅니다. 확장하지 않은 모드에서 "top"과 "bottom"의 차이점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- 둘 다 가로 방향 패널이지만 몇몇 패널 오브젝트의 동작 방식에 힌트를 줍니다. 예를 들어, "top" 패널에서 메뉴 단추를 누르면 패널의 아래 방향으로 메뉴가 나타나지만, "bottom" 패널에서는 패널의 위쪽 방향으로 메뉴가 나타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p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체 화면 너비를 차지할 만큼 확대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 너비가 전체 화면 너비만큼 차지합니다 (세로 패널이면 패널 높이). 이 모드에서 패널은 화면 가장자리에만 놓을 수 있습니다. 거짓이면, 패널은 그 안의 애플릿, 실행 아이콘, 단추를 집어 넣을 수 있을 만큼의 너비만 차지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nit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을 표시할 Xinerama 모니터">
- <longdesc>Xinerama 설정에서, 각각의 모니터에 대해서 패널을 놓을 수 있습니다. 이 키는 패널을 보여줄 모니터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을 표시할 X 화면">
- <longdesc>여러 화면에서 사용하는 경우, 각각의 화면에 패널을 놓을 수 있습니다. 이 키는 패널이 보이는 현재 화면을 나타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을 구분하는 이름">
- <longdesc>패널을 구분할 때 사람이 알아 볼 수 있는 이름입니다. 주된 목적은 패널의 창 제목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 패널 사이를 왔다갔다할 때 창 제목이 쓰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background">
- <entry name="rot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세로 패널에서 그림 회전해 방향 바꾸기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 방향이 세로로 바뀌었을 때 바탕 이미지도 회전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retc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크기에 맞게 이미지 크기 늘리기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의 크기에 맞게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합니다. 이미지의 가로세로 비율은 유지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에 맞게 이미지 맞추기">
- <longdesc>참이면, 이미지의 크기를 패널 높이(가로 방향의 패널인 경우)에 맞게 바꿉니다 (이미지의 가로세로 비율 유지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그림">
- <longdesc>바탕 이미지로 사용할 파일을 지정합니다. 이미지에 알파 채널이 들어 있으면 데스크탑 바탕 이미지와 결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pacit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색 불투명도">
- <longdesc>바탕색 형식의 불투명도를 지정합니다. 색이 완전히 불투명한 경우가 아니면 (65535보다 작은 값), 이 색은 데스크탑 바탕 이미지와 결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색">
- <longdesc>패널의 바탕색을 #RGB 형식으로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종류">
- <longdesc>이 패널의 바탕에 사용할 종류. 가능한 값은 "gtk" - 기본 GTK+ 위젯 바탕을 사용, "color" - color 키를 바탕색으로 사용하고, "image"는 image 키에서 지정한 이미지를 바탕에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eneral">
- <entry name="profiles_migrat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과거 프로파일 설정 옮김">
- <longdesc>/apps/panel/profiles/default에 있는 사용자의 이전 설정을 /apps/panel 밑의 새 위치로 복사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참/거짓 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bject_id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오브젝트 ID 목록">
- <longdesc>패널 오브젝트 ID 목록. 각 ID는 각각의 패널 오브젝트를 가리킵니다. 실행 아이콘, 액션 단추, 혹은 메뉴 단추/메뉴 모음이 이에 해당됩니다. 이 오브젝트의 설정은 /apps/panel/objects/$(id)에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pplet_id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애플릿 ID 목록">
- <longdesc>패널 애플릿 ID 목록. 각 ID는 각각의 패널 애플릿을 가리킵니다. 이 애플릿의 설정은 /apps/panel/applets/$(id)에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plevel_id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ID 목록">
- <longdesc>패널 ID 목록. 각 ID는 각각의 최상위 패널을 가리킵니다. 이 설정은 /apps/panel/toplevels/$(id)에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autocomple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에서 자동완성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"프로그램 실행" 대화상자에서 자동완성을 쓰도록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program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에서 프로그램 목록 늘리기">
- <longdesc>참이면 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가 나타날 때 그 대화 상자의 "알려진 프로그램" 목록이 열립니다. 이 설정은 enable_program_list 키가 참일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program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에서 프로그램 목록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 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의 "알려진 프로그램" 목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대화 상자가 나타날 때 목록을 확장할지 아닐지는 show_program_list 키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lobal">
- <entry name="disable_force_qu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강제로 끝내기 못 하게">
- <longdesc>참이면, 강제로 끝내기 단추에 대해 접근하지 못하게 해서 프로그램을 강제로 끝내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log_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 아웃 못 하게">
- <longdesc>참이면, 로그 아웃 단추를 접근하지 못하게 해서 로스 아웃하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lock_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잠그기 못 하게">
- <longdesc>참이면, 화면 잠그기 단추를 접근하지 못하게 해서 화면을 잠그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d_apple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읽어들이지 않을 애플릿 IID">
- <longdesc>패널이 무시할 애플릿 IID의 목록. 여기에 쓰면 특정 애플릿을 읽어들이거나 메뉴에 나타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mini-commander 애플릿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'OAFIID::GNOME_MiniCommanderApplet'을 이 목록에 더하면 됩니다. 이 설정을 적용하려면 패널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ed_dow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완전 고정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의 설정을 아무 것도 바꿀 수 없게 됩니다. 하지만 각각의 애플릿은 별도로 고정해야 합니다. 이 설정을 적용하려면 패널을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ighlight_launchers_on_mouseo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우스를 실행 아이콘 위에 놓으면 강조 표시">
- <longdesc>참이면, 마우스 포인터를 실행 아이콘 위에 가져갔을 때 강조 표시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nfirm_panel_remo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을 지울 때 확인 질문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을 지우려고 할 때 확인 질문을 하는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rawer_autoclo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닫기 서랍">
- <longdesc>참이면, 서랍 안의 실행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그 서랍이 자동으로 닫힙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ndow_screenshot_ke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eenshot_ke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un_ke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_ke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key_bindin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hid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animation_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show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minimized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anima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니메이션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keep_menus_in_memo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았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tips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툴팁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패널 위의 오브젝트에 대해 툴팁을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stickynotes_applet">
- <dir name="settings">
- <entry name="confirm_dele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를 지울 때 확인 질문을 할 것인지 여부">
- <longdesc>빈 메모는 항상 확인 없이 지워집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rce_defaul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메모에 기본 색과 글꼴 사용 강제">
- <longdesc>이 옵션을 켜면, 메모지마다 하나하나 설정한 색과 글꼴을 무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system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시스템 글꼴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옵션을 끄면, 메모지의 기본 글꼴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system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시스템 색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옵션을 끄면, 메모지의 기본 색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ate_forma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의 제목에 쓸 날짜 형식">
- <longdesc>기본값으로, 메모지를 처음 만들었을 때 현재 시각이 제목이 됩니다. 그 때 이 형식을 사용합니다. strftime()에 쓸 수 있는 어떤 형식이든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k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지 잠금 상태">
- <longdesc>메모지가 잠겼는지(편집 불가능) 여부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ick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지 작업 공간 고정">
- <longdesc>메모지가 데스크탑의 모든 작업 공간에서 보여줄 지 여부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defaults">
- <entry name="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메모의 기본 글꼴">
- <longdesc>새 메모의 기본 글꼴. Pango 글꼴 이름입니다. 예를 들어 "Sans Italic 10"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nt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의 기본 색">
- <longdesc>새 메모지의 기본 글꼴 색. HTML 방식의 16진수 표시로 쓸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"#000000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메모의 기본 색">
- <longdesc>새 메모지의 기본 색. HTML 방식의 16진수 표시로 쓸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"#30FF50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메모의 높이 기본값">
- <longdesc>새 메모의 기본 높이값 픽셀 수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메모의 너비 기본값">
- <longdesc>새 메모의 기본 너비값 픽셀 수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multiload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diskload_color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사용량 그래프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kload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쓰기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kload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읽기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adavg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량 그래프의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adavg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드 평균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apload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왑 그래프의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apload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관련 스왑 사용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load_color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네트워크 그래프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load_color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더넷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load_color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더넷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load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LIP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tload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SLIP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load_color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리 그래프의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load_color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캐시 메모리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load_color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버퍼 메모리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load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공유 메모리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mload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관련 메모리 사용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load_color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PU 그래프 바탕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load_color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iowait 관련 CPU 활동의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load_color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nice 관련 CPU 활동의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load_color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스템 관련 CPU 동작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load_color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관련 CPU 동작에 대한 그래프의 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Ω╖╕δ₧ÿφöä φü¼Ω╕░">
- <longdesc>가로 패널의 경우 그래프의 너비(픽셀수)이고, 세로 패널의 경우 그래프의 높이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의 갱신 단위 (천분의 일초)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diskloa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사용량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loadav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량 평균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swaploa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왑 사용량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netloa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네트워크 사용량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memloa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모리 사용량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cpuloa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PU 사용량 그래프 사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mixer_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vo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저장했던 볼륨 복구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u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음 소거 상태 저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hanne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이 컨트롤하는 채널. OSS 설정에서만 사용 가능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weather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rad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레이더 지도의 URL">
- <longdesc>레이더 지도를 가져올 때 직접 설정한 URL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custom_radar_ur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레이더 지도에 직접 설정한 URL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, "radar" 키에서 시정한 위치에서 레이더 지도를 가져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ordinat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치 좌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ion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시의 날씨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ion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레이더 위치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ion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역 위치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ion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까운 도시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ion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날씨 위치 정보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radar_ma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레이더 지도 보기">
- <longdesc>업데이트할 때마다 레이더 지도 가져오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detailed_foreca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emperature_un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온 단위">
- <longdesc>기온에 사용할 단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peed_un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속도 단위">
- <longdesc>풍속에 사용할 단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essure_un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압 단위">
- <longdesc>기압에 사용할 단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tance_uni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거리 단위">
- <longdesc>시계에 사용할 단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metri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미터법 쓰기">
- <longdesc>미터법 쓰기 (설정하지 않으면 영국식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update_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업데이트 간격">
- <longdesc>자동 업데이트 시간 간격 (초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upd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데이타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.">
- <longdesc>애플릿이 자동으로 날씨 통계를 업데이트할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eyes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theme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마가 들어 있는 디렉토리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drivemount-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interv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운트 위치 상태를 검사하는 간격">
- <longdesc>상태를 업데이트할 간격 (초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cpufreq-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show_text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표시할 텍스트의 종류 (텍스트를 사용하는 경우).">
- <longdesc>값이 0이면 CPU 주파수를 표시하고, 1이면 주파수와 단위를 표시하고, 2이면 주파수 대신에 퍼센트를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PU 사용량을 볼 모드">
- <longdesc>값이 0이면 애플릿을 그래픽 모드로 표시하고 (픽스맵만), 1이면 애플릿을 텍스트 모드로 표시하고 (픽스맵 표시 안 함), 2이면 애플릿을 그래픽 및 텍스트 모드로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p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살펴 볼 CPU">
- <longdesc>살펴 볼 CPU 설정. CPU가 한 개일 경우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charpick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chart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 가능한 팔레트 목록">
- <longdesc>사용 가능한 팔레트가 들어 있는 스트링 목록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rent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 시작할 때 보일 글자">
- <longdesc>애플릿이 마지막으로 사용되었을 때 선택한 스트링. 애플릿을 시작할 때 이 스트링이 보여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DEPRECATED - 애플릿 시작할 때 보일 글자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battstat-applet">
- <dir name="prefs">
- <entry name="show_tex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간/퍼센트 레이블 보기">
- <longdesc>0이면 레이블이 없고, 1이면 퍼센트이고, 2이면 남은 시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batte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가로 배터리 보기">
- <longdesc>패널에 전통적인 가로 방향의 배터리를 표시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statu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 아래 (작은) 배터리">
- <longdesc>패널에 위 아래 방향의 좀 더 작은 배터리를 표시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rain_from_t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맨 위부터 줄이기">
- <longdesc>배터리의 맨 위에서부터 배터리 표시를 줄여 나갑니다. 전통적인 배터리 보기 모드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ee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경고할 때 삑소리를 냅니다">
- <longdesc>경고를 보여줄 때 삑소리 내기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ull_battery_notific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충전되면 알림">
- <longdesc>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알림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w_battery_notific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배터리 부족하면 알림">
- <longdesc>배터리 충전량이 부족하면 알려 주기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d_value_is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퍼센트가 낮을 때가 아니라 시간이 작을 때 경고">
- <longdesc>red_value에 지정한 값을 퍼센트가 아니라 남은 시간으로 보고 경고 대화 상자를 표시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d_valu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빨간색 값 단계">
- <longdesc>이보다 낮으면 배터리를 붉은 색으로 표시합니다. 또 이 값에서 배터리 충전량이 낮다는 경고를 표시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terminal">
- <dir name="keybindings">
- <entry name="zoom_norm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을 보통 크기로 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글꼴을 보통 크기로 만드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zoom_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을 더 작게 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글꼴을 더 작게 만드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zoom_i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을 더 크게 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글꼴을 더 크게 만드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el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움말을 실행하는 바로가기 키">
- <longdesc>도움말을 실행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1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12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12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1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11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11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1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10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10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9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9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9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8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8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8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7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7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7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6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6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6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5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5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5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4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4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3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3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2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2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tab_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 1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탭 1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tach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탭 떼기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현재 탭을 떼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ab_r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탭을 오른쪽으로 옮기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현재 탭을 오른쪽으로 옮기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ab_lef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탭을 왼쪽으로 옮기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현재 탭을 왼쪽으로 옮기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xt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다음 탭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다음 탭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ev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전 탭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이전 탭으로 바꾸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set_and_cle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을 리셋하고 지우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터미널을 리셋하고 지우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se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을 리셋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터미널을 리셋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t_terminal_tit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의 제목을 설정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터미널 제목을 설정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menu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모음을 보일지 토글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메뉴 모음을 보일지 토글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ull_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체 화면 모드를 토글하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전체 화면 모드를 토글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s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자를 붙이는 바로가기 키">
- <longdesc>선택한 텍스트를 클립보드에서 붙여 넣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단축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p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자를 복사하는 바로가기 키">
- <longdesc>선택한 텍스트를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lose_wind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닫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창을 닫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lose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탭을 닫는 바로가기 키">
- <longdesc>탭을 닫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w_profi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프로파일을 만드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프로파일 만들기 대화 상자를 여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w_wind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을 여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새 창을 여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w_tab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탭을 여는 바로가기 키.">
- <longdesc>새 탭을 여는 바로가기 키. GTK+ 리소스 파일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로 표현합니다. 특별히 "disabled"라고 설정하면, 이 액션에 대한 바로가기 키는 없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ofiles">
- <dir name="Default">
- <entry name="use_ske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S/Key 요구를 강조">
- <longdesc>S/Key channelge 응답 요청이 들어왔을 때 클릭하면 대화 상자를 실행합니다. 대화 상자로 열쇠글을 입력하면 터미널로 보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system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스템 글꼴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에서 데스크탑에서 지정한 글꼴을 사용합니다. (고정 폭인 경우에만, 그렇지 않으면 가장 비슷한 글꼴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o_aa_without_rend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X RENDER확장 없이 부드러운 글꼴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X RENDER 확장이 없을 때 부드러운 글꼴을 사용하지 않게 합니다. 그렇게 되면 성능이 향상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theme_colo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위젯에 대해 테마 색을 사용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참이면 텍스트 입력 상자에 사용된 색 테마를 터미널에서 사용합니다. 사용자가 지정한 색은 무시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lete_bind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<Delete> 키의 효과">
- <longdesc><Delete> 키가 만들어 낼 코드. 가능한 값은 "ascii-del" (ASCII DEL 문자), "control-h" (Control-H, 즉 ASCII BS 문자), "escape-sequence" (백스페이스 아니면 DEL에 해당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). 보통의 경우 "escape-sequence"가 <Delete> 키의 설정으로 올바른 설정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space_bind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백스페이스 키의 효과">
- <longdesc>백스페이스 키가 만들어 낼 코드. 가능한 값은 "ascii-del" (ASCII DEL 문자), "control-h" (Control-H, 즉 ASCII BS 문자), "escape-sequence" (백스페이스 아니면 DEL에 해당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). 보통의 경우 "ascii-del"이 백스페이스 키의 설정으로 올바른 설정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darknes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이미지를 얼마나 어둡게 할 지">
- <longdesc>0.0에서 1.0 사이의 값. 바탕 이미지를 얼마나 어둡게 만들지를 나타냅니다. 0.0은 어둡게 하지 않고, 1.0은 완전히 어둡게 합니다. 현재 구현하기로는 두 가지 단계만 쓸 수 있으므로 불리언처럼 동작합니다. 0.0으로 하면 어둡게 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oll_backgrou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그림을 스크롤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참이면, 바탕 이미지를 텍스트와 함께 스크롤합니다; 거짓이면 이미지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그 위의 텍스트만 스크롤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imag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그림">
- <longdesc>바탕 그림의 파일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바탕 종류">
- <longdesc>터미널 바탕의 종류. 한 가지 색으로 채울 때는 "solid", 이미지는 "image", (가짜로) 투명하게 하려면 "transparent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">
- <longdesc>Pango 글꼴 이름. 예를 들어 "Sans 12" 혹은 "Monospace Bold 14"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x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글꼴">
- <longdesc>X 글꼴 이름. X 글꼴 이름에 관해서는 X 매뉴얼 페이지("man X" 실행)를 참고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let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프로그램의 팔레트">
- <longdesc>터미널 프로그램에서는 터미널의 16색 팔레트를 쓸 수 있습니다. 이 설정은 그 팔레트로, 색 이름을 콜론으로 구분한 리스트입니다. 색 이름은 16진수 형식이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"#FF00FF"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c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창의 아이콘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탭/창에 사용할 아이콘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stom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내 쉘 대신에 사용자 지정 명령어 사용">
- <longdesc>쉘 대신에 이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 (use_custom_command가 참일 경우에만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custom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쉘 대신에 사용자 지정 명령을 실행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쉘을 실행하지 않고 custom_command 설정의 값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pdate_recor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명령어를 실행할 때 로그인 기록을 업데이트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로그인 기록 utmp/wtmp를 업데이트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gin_she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로그인 쉘로 이 명령어를 실행할 지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에서 명령어가 로그인 쉘로 실행됩니다. (argv[0] 앞에 하이픈(-)이 붙습니다.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it_ac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식 명령이 끝날 때 터미널이 어떻게 할 지">
- <longdesc>가능한 값은, 터미널을 닫으려면 "close", 명령어를 다시 시작하려면 "restart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oll_on_outp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로운 출력이 생겼을 때 맨 아래로 스크롤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에서 새로운 출력이 나왔을 때 맨 아래로 스크롤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oll_on_keystrok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를 눌렀을 때 맨 아래로 스크롤할 지 여부.">
- <longdesc>참이면, 키를 눌렀을 때 스크롤바가 맨 아래로 이동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ollback_lin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크롤할 때 보여주도록 저장할 줄 수">
- <longdesc>저장하고 있을 스크롤 가능한 줄 수. 터미널에서 이 개수만큼의 줄을 스크롤할 수 있습니다; 여기에 들어가지 못하는 줄들은 없어집니다. 주의해서 설정해야 합니다; 터미널이 얼마나 많은 메모리를 차지할 지가 이 설정에 따라 크게 결정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ollbar_posi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크롤 막대의 위치">
- <longdesc>터미널 스크롤바를 어디에 놓을 지. 가능한 값은 "left", "right", 그리고 "disabled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ord_cha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단어의 일부라고 생각할 문자">
- <longdesc>단어 단위로 선택할 때, 이 문자들이 붙어 있으면 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. 문자 범위는 "A-Z"와 같이 표시합니다. 범위를 나타내지 않는 하이픈(-) 문자를 직접 쓰려면 맨 처음 문자로 써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lent_be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종소리를 내지 않을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프로그램에서 터미널 벨 소리에 대한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출력하더라도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low_bol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굵은 글씨를 허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 프로그램들에서 굵은 글씨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it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의 제목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itle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동적 제목을 어떻게 할 지">
- <longdesc>터미널 내의 프로그램에서 제목을 설정하는 경우 (보통 쉘이 제목을 설정합니다), 동적으로 설정된 제목이 기존에 설정된 제목을 지우거나, 기존 제목의 앞에 오거나, 뒤에 오거나, 아니면 제목을 바꿔 버릴 수 있습니다. 사용 가능한 값은 "replace", "before", "after", 그리고 "ignore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ackground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바탕의 기본 색">
- <longdesc>터미널 바탕색의 기본 색. (HTML 스타일의 16진수 색 표현, 혹은 "red"처럼 색 이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reground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텍스트의 기본 색">
- <longdesc>터미널 텍스트의 기본 색. (HTML 스타일의 16진수 색 표현, 혹은 "red"처럼 색 이름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show_menu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/탭에서 메뉴 모음을 보일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새 창에서 메뉴 모음을 보여줍니다 (이 프로파일로 실행되는 창/탭에 대해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sor_blin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를 깜박일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, 터미널에 포커스가 있을 때 커서를 깜박입니다 (이 프로파일로 실행되는 창/탭에 대해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sible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읽기 좋은 프로파일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lobal">
- <entry name="confirm_window_clo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창을 닫을 때 확인 질문을 할 지 여부">
- <longdesc>한 개 이상의 탭이 들어 있는 터미널 창을 닫을 때 확인 질문을 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ve_encodin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쓸 수 있는 인코딩 목록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menu_accelerato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모음에 접근하는 표준 GTK 단축 키를 사용할 지">
- <longdesc>보통 F10으로 메뉴 모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이 키는 gtkrc에서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(gtk-menu-bar-accel = "어떤키이름"). 이 옵션으로 이 메뉴 모음 단축 키를 사용하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mnemonic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모음의 단축 키를 사용할 지">
- <longdesc>메뉴 모음에서 <Alt>+글자 단축 키를 사용할 지. 이 단축 키 때문에 터미널에서 어떤 프로그램의 동작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, 이런 경우 이 단축 키를 끌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profi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터미널에 사용할 프로파일">
- <longdesc>새 창이나 탭을 열 때 사용할 프로파일. profile_list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ofile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파일 목록">
- <longdesc>그놈 터미널에 알려진 프로파일 목록. 이 목록에는 /apps/gnome-terminal/profiles에 상대적인 서브디렉토리의 이름이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metacity">
- <dir name="keybinding_commands"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단축키를 누르면 실행할 명령">
- <longdesc>/apps/metacity/global_keybindings/run_command_N 키는 해당 명령어에 해당하는 키바인딩을 정의합니다. run_command_N의 키바인딩을 누르면 command_N을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_window_screensh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스크린샷 명령어">
- <longdesc>/apps/metacity/global_keybindings/run_command_window_screenshot 키는 이 세팅으로 실행할 명령어를 실행하는 키바인딩을 정의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_screensh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크린샷 명령어">
- <longdesc>/apps/metacity/global_keybindings/run_command_screenshot 키는 이 세팅으로 실행할 명령어를 실행하는 키바인딩을 정의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lobal_keybindings">
- <entry name="run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정의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un_command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실행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un_command_window_screensh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스크린샷 찍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un_command_screensho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크린샷 찍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run_dialo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의 실행 대화 상자 보여주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nel_main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 메뉴 보여주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dow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래쪽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위쪽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r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른쪽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lef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왼쪽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1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12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1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11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1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10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9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9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8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8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7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7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6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6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5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5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4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3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2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to_workspace_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1번째 작업 공간으로 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deskt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창을 숨기고 바탕화면에 포커스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panels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바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pane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바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windows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사이에서 바로 반대 방향으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wind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사이에서 바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group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한 개 프로그램의 창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팝업을 통해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gro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한 개 프로그램의 창 사이에서 팝업을 통해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group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한 개 프로그램의 창 사이에서 바로 반대 방향으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ycle_gro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한 개 프로그램의 창 사이에서 바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panels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팝업을 통해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pane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패널과 바탕화면 사이에서 팝업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windows_backw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사이에서 팝업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witch_wind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사이에서 팝업을 통해 옮겨가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window_keybindings">
- <entry name="move_to_side_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왼쪽 가장자리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side_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오른쪽 가장자리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side_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아래쪽 가장자리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side_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위쪽 가장자리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corner_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오른쪽 아래 구석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corner_s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왼쪽 아래 구석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corner_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오른쪽 위 구석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corner_n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화면 왼쪽 위 구석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aximize_horizontall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가로로 최대화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aximize_verticall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세로로 최대화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낮추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ai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다른창 위에 창 띄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aise_or_lo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띄우고 다른것들을 내려버리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dow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아래의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위의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r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오른쪽의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lef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왼쪽의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1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12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1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11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10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2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9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9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8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8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7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7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6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6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5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5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4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4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3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3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2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2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ve_to_workspace_1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1번째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on_all_work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모든 작업 공간에 두기 토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egin_re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크기 조절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egin_mo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을 옮기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inim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최소화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lo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닫기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shad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숨기기 토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nmaxim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최대화 취소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axim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최대화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maximiz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최대화 토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abo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맨위에 두기 토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ggle_full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체 화면 모드 토글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vate_window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메뉴 활성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workspace_names"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 공간 이름">
- <longdesc>작업 공간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eneral">
- <entry name="disable_workaroun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낡거나 잘못된 응용 프로그램에 요청하는 오작동을 하지 않습니다">
- <longdesc>일부 프로그램은 규격에 맞지 않는 방식으로 동작해서 창 관리자가 이상동작할 수 있습니다. 이 옵션을 사용하면 메타시티가 엄밀하게 정확한 모드로 동작합니다. 이렇게 하면 잘못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없다는 가정 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일관성이 있게 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pplication_bas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(구현되지 않음) 네비게이션을 창 단위가 아니라 프로그램 단위로 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메타시티가 창 단위로 동작하지 않고 프로그램 단위로 동작합니다. 개념이 좀 추상적이지만, 프로그램 단위의 설정은 윈도우보다는 맥과 비슷합니다. 프로그램 단위의 모드에서 어떤 창에 포커스를 맞췄을 때, 해당 프로그램의 모든 창이 올라옵니다. 또, 프로그램 단위의 모드에서, 포커스 은 다른 프로그램 윈도우에는 전달되지 않습니다. 하지만 프로그램 모드는 현재 많은 부분이 구현되지 않은 상태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duced_resour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참이면, 리소스를 덜 쓰는 대신 사용성을 떨어뜨립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메타시티를 조정할 때 바로바로 적용하는 일이 줄어듭니다. 예를 들어 와이어프레임을 쓰고, 애니메이션을 하지 않는다든지 하는 식입니다. 이렇게 하면 많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떨어뜨리지만, 과거의 프로그램이나 터미널 서버가 동작하는 데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. 또 터미널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괜찮은 트레이드오프입니다. 하지만 접근성 기능을 사용할 경우 와이어프레임 기능은 쓰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positing_manag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조합 관리자">
- <longdesc>메타시티가 조합 관리자인지 여부를 결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sual_bell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주얼 벨 형식">
- <longdesc>시스템 벨 혹은 그 외 프로그램의 '벨' 소리를 어떻게 비주얼하게 표현할 지 결정합니다. 두 가지 값을 쓸 수 있습니다; "fullscreen"은 전체 화면이 흰색-검은색으로 깜박이고, "frame_flash"는 벨 소리를 보낸 프로그램의 제목이 깜박입니다. 벨 소리를 보낸 프로그램을 알 수 없는 경우 ("시스템 벨소리"인 경우"), 현재 포커스된 창의 제목이 깜박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dible_be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스템 삑소리 들림">
- <longdesc>프로그램 혹은 시스템에서 들을 수 있는 '삑소리'를 낼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; 조용한 '삑소리'를 내려면 '비주얼 벨'과 함께 쓸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sual_be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주얼 벨 쓰기">
- <longdesc>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'벨' 혹은 '삑소리'를 낼 때 눈에 보이도록 표현합니다. 듣는데 어려움이 있거나, 주위가 시끄러운 경우 유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um_work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 공간 개수">
- <longdesc>작업 공간의 개수. 0 보다 커야 하고, 실수로 너무 큰 작업 공간을 만들어서 데스크탑을 못 쓰게 되지 않도록 어떤 고정된 최대값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itlebar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제목 글꼴">
- <longdesc>창 제목 막대에 대한 글꼴 설명을 기술합니다. titlebar_font_size 옵션이 0으로 설정될 때만 기술된 크기가 적용됩니다. 또한 이 옵션은 titlebar_uses_desktop_font 옵션이 참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쓸 수 없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itlebar_uses_system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제목에 표준 시스템 글꼴을 씁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titlebar_font 옵션을 무시하고 표준 응용 프로그램 글꼴을 창 제목의 글꼴로 씁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현재 테마">
- <longdesc>창의 테두리, 제목 등의 모양을 지정하는 테마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raise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으로 띄울 때까지 걸리는 시간(밀리초)">
- <longdesc>auto_raise가 침일 경우, 창을 올리기 전의 지연 시간. 이 시간은 천분의 일초 단위로 주어집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_rai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포커스가 있는 창을 자동으로 띄웁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, 그리고 포커스 모드가 "sloppy"이거나 "mouse"이면 포커스가 있는 창이 auto_raise_delay 키에 지정한 지연 시간 후에 자동으로 올라옵니다. 이 사항은 창을 눌러서 위로 올리거나 끌어놓기 도중에 창에 들어가는 것과는 별개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tion_double_click_titleba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제목을 두 번 누를 때 동작">
- <longdesc>이 옵션은 제목에 마우스 단추를 두 번 눌렀을 때 어떻게 할 지를 결정합니다. 쓸 수 있는 옵션으로, 'toggle_shaded'는 창을 숨기거나/보여주는 것이고, 'toggle_maximized'는 최대화/최대화 취소하는 것, 'minimize'는 창을 최소화 하는 것, 'none'은아무것도 하지 않도록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aise_on_clic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의 다른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으로 창 띄우기/말기">
- <longdesc>많은 동작에서 (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공간 안에서 마우스 단추 누르기, 창 옮기기 혹은 크기 바꾸기) 해당 동작에 추가로 해당 창을 위로 올립니다. 이 옵션을 거짓으로 하면 창을 올리는 것과 다른 동작을 별개로 합니다. 이 옵션이 거짓이라고 해도, Alt와 왼쪽 단추를 누르거나, 창 테두리를 눌러서 위로 올리거나, 작업공간 관리자에서 활성화 메세지가 온다든지 하는 특수한 메세지가 있으면 창을 올릴 수 있습니다. 마우스 단추를 눌러 포커스를 주는 모드에서는 이 옵션을 현재 사용하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cus_new_window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새 창이 포커스를 받는 방법을 조정합니다">
- <longdesc>이 옵션을 사용하면 새로 만든 창이 포커스를 받는 방식을 더 자세히 조정할 수 있습니다. 두 가지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"smart"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포커스 모드이고, "strict"는 터미널에서 시작한 창의 경우 포커스를 받지 않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cus_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 포커스 모드">
- <longdesc>창 포커스 모드는 창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. 세 가지 값을 쓸 수 있습니다; "click"은 창에 포커스를 놓으려면 마우스 단추를 눌러야 하는 것이고, "sloppy"는 마우스가 창 안에 들어갈 때 포커스되는 것이고, "mouse"는 마우스가 창 안에 들어가면 포커스되고 마우스가 창 밖으로 나갈 때 포커스가 없어지는 것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utton_layou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제목 위에 있는 단추의 배치">
- <longdesc>제목 위에 있는 단추의 배치. 이 값은 스트링으로, "menu:minimize,maximize,close"와 같이 씁니다; 콜론으로 창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을 구분하며, 각 단추는 콤마로 구분합니다. 같은 단추를 중복해서 쓸 수 없습니다. 알 수 없는 단추 이름은 그냥 무시되며 다음 버전의 메타시티에서 그 단추가 새로 생길 경우에도 문제 없이 쓸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use_button_modifi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변경 창을 누를 때 쓸 변경자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volume-control">
- <dir name="ui">
- <entry name="window_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의 너비">
- <longdesc>보이는 창의 너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ndow_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의 높이">
- <longdesc>보이는 창의 높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-cd">
- <entry name="volu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 플레이어 볼륨">
- <longdesc>CD 플레이어를 시작할 때 설정할 볼륨을 설정?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heme-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 플레이어 테마">
- <longdesc>CD 플레이어의 겉모양에 무슨 테마를 쓸 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-remaining-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남은 시간을 보입니까?">
- <longdesc>CD가 연주되는 동안 시간을 어떻게 보여줄까요?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n-stop-ejec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 플레이어가 끝날 때 CD 트레이를 열까요?">
- <longdesc>CD 플레이어가 끝날 때 CD 트레이를 열까요?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n-start-p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 플레이어가 시작할 때 재생 시작할까요?">
- <longdesc>CD 플레이어가 시작할 때, CD 연주를 시작할까요?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vi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장치 경로">
- <longdesc>CD 플레이어가 CD를 연주할 때 쓸 CD 드라이브의 경로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DDB-Slave2">
- <entry name="host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호스트이름">
- <longdesc>모든 질의를 보낼 호스트 이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이름">
- <longdesc>모든 질의에 보낼 사용자 이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nf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버에 보낼 정보">
- <longdesc>이 키는 CD 쿼리할 때 서버에 어떤 정보를 보낼 지 지정합니다. 가능한 값은 0 (정보 보내지 않음), 1 (실제 정보) 그리고 3 (기타 정보) 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rver-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버 종류">
- <longdesc>CD 쿼리를 보낼 서버의 종류. 가능한 값은 0 (FreeDB 라운드 로빈 서버), 1 (기타 FreeDB 서버) 그리고 2 (기타 서버)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포트">
- <longdesc>데이터베이스가 실행되는 서버의 포트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r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서버 이름">
- <longdesc>CD 질의를 할 서버의 주소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switchit">
- <dir name="Applet">
- <entry name="enabledPlugi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하고 있는 키보드 표시 플러그인의 목록">
- <longdesc>사용하고 있는 키보드 표시 플러그인의 목록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Fla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에 깃발을 표시">
- <longdesc>현재 키보드 배치를 알려주는 목적으로 애플릿에 깃발을 표시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conda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조 그룹">
- <longdesc>보조 그룹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eview">
- <entry name="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높이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높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너비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너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세로 위치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세로 위치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x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가로 위치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가로 위치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nome_settings_daemon">
- <entry name="volume_ste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 단위">
- <longdesc>소리 단위, 소리 높이의 퍼센트 비율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screensaver">
- <entry name="show_startup_erro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 오류 보기">
- <longdesc>화면 보호기 실행 중에 오류가 생길 때 대화상자 보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rt_screensa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보호기 시작">
- <longdesc>로그인할 때 화면 보호기 실행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keybindings">
- <entry name="nex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다음 트랙 넘어가기">
- <longdesc>다음 트랙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eviou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전 트랙 넘어가기">
- <longdesc>이전 트랙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o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연주 멈춤">
- <longdesc>연주 멈춤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au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잠시 멈춤">
- <longdesc>잠시 멈춤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연주 (또는 잠시 멈춤)">
- <longdesc>연주 (또는 잠시 멈춤) 바로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w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웹 브라우저 실행">
- <longdesc>웹 브라우저 실행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el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움말 브라우저 실행">
- <longdesc>도움말 브라우저 실행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creensav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잠그기">
- <longdesc>화면 잠그기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mai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전자 메일">
- <longdesc>전자 메일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arc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찾기">
- <longdesc>찾기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o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홈 폴더">
- <longdesc>홈 폴더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jec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꺼내기">
- <longdesc>꺼내기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w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그아웃">
- <longdesc>로그아웃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olume_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 높임">
- <longdesc>소리 높임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olume_dow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 낮춤">
- <longdesc>소리 낮춤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olume_mu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소리 끔">
- <longdesc>소리 끔 바로 가기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editor">
- <entry name="sync_text_typ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text/plain과 text/* 처리기 동기화">
- <longdesc>참이면 text/plain과 text/*의 mime처리기가 항상 동기화됨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system">
- <dir name="gstreamer">
- <dir name="0.10">
- <dir name="audio">
- <dir name="profiles">
- <entry name="acti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longdesc>프로파일의 설명, 이 프로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언제 사용할 지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longdesc>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. 프로파일을 선택할 경우 및 특정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이름으로 쓰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aac">
- <entry name="activ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을 사용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표시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mp3"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voicelossy"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voicelossless"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dlossless"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dlossy">
- <entry name="extens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 프로파일의 기본 파일 확장자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따라 인코딩해서 저장할 파일의 파일 이름 확장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pe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">
- <longdesc>이 프로파일에 사용할 GStreamer 파이프라인 부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scri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에 대한 설명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디오 프로파일의 짧은 이름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global">
- <entry name="profile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로파일의 목록"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smb">
- <entry name="workgro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SMB 작업 그룹">
- <longdesc>사용자가 속해 있는 윈도우 네트워크 워크그룹 혹은 도메인. 새 워크그룹이 완전히 동작하려면 사용자가 로그아웃했다가 다시 로그인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oxy">
- <entry name="autoconfig_ur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프록시 설정 URL">
- <longdesc>프록시 설정 값을 제공해 주는 URL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cks_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SOCKS 프록시 포트">
- <longdesc>프록시에 사용할 포트 ("/system/proxy/socks_host"에서 지정한 기계에서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ocks_ho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SOCKS 프록시 호스트 이름">
- <longdesc>SOCKS 프록시로 쓸 기계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tp_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FTP 프록시 포트">
- <longdesc>프록시에 사용할 포트 ("/system/proxy/ftp_host"에서 지정한 기계에서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tp_ho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FTP 프록시 호스트 이름">
- <longdesc>FTP 프록시로 쓸 기계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cure_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안 HTTP 프록시 포트">
- <longdesc>프록시에 사용할 포트 ("/system/proxy/secure_host"에서 지정한 기계에서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cure_ho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안 HTTP 프록시 호스트 이름">
- <longdesc>보안 HTTP 프록시로 쓸 기계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d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록시 설정 모드">
- <longdesc>프록시 설정 모드를 선택합니다. 지원하는 값은 "none", "manual", "auto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http_proxy">
- <entry name="ignore_hos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록시 쓰지 않을 호스트">
- <longdesc>이 키에는 (프록시가 사용 가능할 경우에도) 프록시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할 호스트의 목록이 들어갑니다. 각 값들은 호스트 이름, 도메인 이름(*.foo.com과 같은 와일드 카드 사용), IP 호스트 주소(IPv4와 IPv6 모두 가능), 네트마스크를 사용한 네트워크 주소(192.168.0.0/24와 같이)를 쓸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hentication_passwo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TP 프록시 열쇠글">
- <longdesc>HTTP 프록시를 쓸 때 인증하면서 넘기는 열쇠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hentication_us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TP 프록시 사용자 이름">
- <longdesc>HTTP 프록시를 쓸 때 인증하면서 넘기는 사용자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authentic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록시 서버 연결에 인증">
- <longdesc>참이면, 프록시 서버에 연결하는 데 인증이 필요합니다. 사용자 이름과 열쇠글은 "/system/http_proxy/authentication_user" 및 "/system/http_proxy/authentication_password"에서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TP 프록시 포트">
- <longdesc>프록시에 사용할 포트 ("/system/http_proxy/host"에서 지정한 기계에서)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o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TP 프록시 호스트 이름">
- <longdesc>HTTP 프록시로 쓸 기계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http_prox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HTTP 프록시 사용">
- <longdesc>인터넷을 HTTP로 접근할 때 프록시를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dns_sd">
- <entry name="extra_domai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DNS-SD 서비스를 찾아볼 추가 도메인">
- <longdesc>"network:///" 위치에서 보여야 하는 DNS-SD 도메인들의 쉼표로 구분한 목록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play_loc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컬 DNS-SD 서비스를 표시하는 법">
- <longdesc>쓸 수 있는 값은 "merged", "separated" 및 "disabled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desktop">
- <dir name="gnome">
- <dir name="remote_access">
- <entry name="mailt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원격 데스크탑 URL을 보낼 전자우편 주소">
- <longdesc>원격 데스크탑 기본 설정 대화상자에서 사용자가 URL을 눌렀을 때 원격 데스크탑 URL을 보낼 메일주소를 지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nc_passwo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vnc"인증에 필요한 열쇠글">
- <longdesc>"vnc"인증방법이 쓰였을 때 원격 사용자에게 물어볼 열쇠글입니다. 이 열쇠글은 base64 인코딩된 키이여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hentication_metho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허용된 인증 방법">
- <longdesc>원격 사용자가 데스크탑에 접근할 때 쓰일 인증 방법의 목록입니다. 쓸 수 있는 인증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; "vnc"는 원격 사용자가 연결하기 전에 열쇠글 인증을 합니다. "none"은 아무 원격 사용자에게 연결을 허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require_encryp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암호화 필요">
- <longdesc>참이면 원격사용자가 데스크탑에 접근할 때 암호화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. 외부 네트워크가 신뢰할 수 없다면 암호화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ternative_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조 포트 번호">
- <longdesc>'use_alternative_port'키가 참이면 감시할 포트번호입니다. 올바른 범위는 5000에서 50000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alternative_por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보조 포트 감시">
- <longdesc>참이면 서버가 기본 포트(5900)대신 다른 포트를 감시합니다. 포트는 'alternative_port' 키에 지정되어야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l_onl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로컬 연결만 허용">
- <longdesc>참이면 서버는 현재 컴퓨터에서만 연결을 수락하고, 네트워크 연결은 거부하게 됩니다. ssh같은 터널링 절차를 사용해서만 접근하다록 하려면 이 옵션을 참으로 설정하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view_onl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원격 사용자에게 데스크탑을 보기 전용으로만 허용">
- <longdesc>참이면 원격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보는 것만 허용합니다. 원격 사용자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쓸 수 없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ompt_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연결을 하기전에 사용자에게 물어봄">
- <longdesc>참이면 로컬 사용자가 연결을 허용할 때 까지 원격사용자가 데스크탑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. 열쇠글로 접근을 막아두지 않았을 때 쓰는 것이 좋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원격 데스크탑 접근 사용">
- <longdesc>참이면 RFB프로토콜을 통해서 원격으로 데스크탑에 접근합니다. 원격 컴퓨터의 사용자는 vncviewer를 써서 데스크탑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volume_manager">
- <entry name="percent_us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증가한 디스크 사용량에 대한 알림 한계값">
- <longdesc>알림 기능을 켤지 여부에 대한 한계 값. 최근에 검사한 후에 더 사용한 공간을 기준으로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ercent_threshol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 공간 부족 알림 제한">
- <longdesc>사용자에게 디스크 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한계 퍼센트 값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ocketpc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alm 동기화 명령">
- <longdesc>포켓PC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ocketp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포켓PC 동기화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PocketPC가 연결될 때 'autopocketpc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almsync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alm 동기화 명령">
- <longdesc>Palm이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almsyn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alm 동기화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Palm이 연결될 때 'autopalmsync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tablet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태블릿 명령">
- <longdesc>태블릿이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table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태블릿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태블릿이 연결될 때 'automouse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mouse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우스 명령">
- <longdesc>마우스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mou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우스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마우스가 연결될 때 'automouse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keyboar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명령">
- <longdesc>키보드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keyboar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키보드가 연결될 때 'autokeyboard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videocam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 카메라 명령">
- <longdesc>비디오 카메라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videocam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비디오 편집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연결될 때 'autovideocam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scanner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캐너 명령">
- <longdesc>스캐너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scann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스캐너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스캐너가 연결될 때 'autoscanner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rinter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린터 명령">
- <longdesc>프린터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rint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프린터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프린터가 연결될 때 'autoprinter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ipo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iPod 동기화 명령">
- <longdesc>iPod가 연결될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ipo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iPod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iPod가 연결될 때 'autoipod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hoto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진 관리 명령">
- <longdesc>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쓰이던 매체가 연결되었을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hot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진 관리 명령 실행">
- <longdesc>디지털 카메라가 연결되거나 카메라에서 쓰이던 매체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'autophoto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vc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VCD 연주 명령">
- <longdesc>비디오 VCD가 들어왔을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vc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들어온 비디오 VCD 연주">
- <longdesc>비디오 VCD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'autoplay_vvd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dv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DVD 연주 명령">
- <longdesc>비디오 DVD가 들어왔을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dv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들어온 비디오 DVD 연주">
- <longdesc>비디오 DVD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'autoplay_dvd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burn_data_c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데이터 CD 굽기 명령 실행">
- <longdesc>사용자가 데이터 CD를 구울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burn_audio_cd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음악 CD 굽기 명령">
- <longdesc>사용자가 음악 CD를 구울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bur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/DVD 굽기 프로그램 실행">
- <longdesc>빈 CD나 DVD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autoburn 명령중 하나를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cda_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CD 연주 명령">
- <longdesc>음악 CD가 들어왔을 때 실행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play_cda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들어온 음악 CD 연주">
- <longdesc>음악 CD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'autoplay_cda_command'을 실행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open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열기 경로">
- <longdesc>자동 열기 파일을 찾아 볼 ':'로 분리된 경로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op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열기">
- <longdesc>새로 마운트된 미디어에서 자동 열기 파일을 열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run_pa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 실행 경로">
- <longdesc>자동실행 파일이나 스크립트를 찾아 볼 ':'로 분리된 경로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ru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실행">
- <longdesc>새로 마운트된 미디어에서 ('autorun_path'에 있는 바이너리나 스크립트)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brows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노틸러스 자동 실행">
- <longdesc>(CD-ROM 같은)꺼낼 수 있는 미디어가 노틸러스로 엽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mount_media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꺼낼 수 있는 매체 자동 마운트">
- <longdesc>꺼낼 수 있는 매체가 드라이브에 들어왔을 때 gnome-volume-manager에서 자동으로 마운트 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mount_driv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꺼낼 수 있는 드라이브 자동 마운트">
- <longdesc>꺼낼 수 있는 디스크가 연결이 되었을 때 gnome-volume-manager에서 자동으로 마운트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prompts">
- <entry name="cd_mix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음악/데이터가 섞인 CD의 "항상 이 동작 실행" 체크박스">
- <longdesc>음악과 데이터가 섞인 CD가 들어왔을 때 실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pod_photo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iPod Photos의 "항상 이 동작 실행" 체크박스">
- <longdesc>iPod Photo가 연결될 때 실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vice_import_photo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장치에서 사진 가져오기의 "항상 이 동작 실행" 체크박스">
- <longdesc>사진이 들어있는 장치가 연결될 때 실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amera_import_photo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카메라에서 사진 가져오기의 "항상 이 동작 실행" 체크박스">
- <longdesc>카메라가 연결될 때 실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utoru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자동실행의 "항상 이 동작 실행" 체크박스">
- <longdesc>장치에 자동실행 프로그램/스크립트가 들어있을 때 실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file_views">
- <entry name="show_backup_fil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백업 파일을 보여 줄 것인지 여부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이맥스에서 만든 것과 같은 백업 파일을 보여줍니다. 현재 tilde(~)로 끝나는 파일을 백업 파일로 취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hidden_fil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숨김 파일을 보여 줄 것인지 여부">
- <longdesc>참으로 설정하면, 파일 관리자에서 숨겨진 파일들이 보입니다. 숨겨진 파일은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이거나 폴더의 .hidden 파일 안에 목록에 들어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yping_break"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를 쓰지 못하게 할 지 여부">
- <longdesc>키보드를 쓰지 못하게 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llow_postpo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휴식 시간 뒤로 미루기 허용">
- <longdesc>타이핑 휴식 스크린을 뒤로 미룰 수 있는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reak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휴식 시간">
- <longdesc>몇 분동안 타이핑 휴식 시간이 계속되는 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ype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타이핑 시간">
- <longdesc>몇 분동안 타이핑해야 휴식 모드가 시작하는 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humbnailers">
- <entry name="disable_al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외부 썸네일 프로그램을 모두 사용하지 않음">
- <longdesc>모든 외부 썸네일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면 true로 설정. 외부 썸네일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사용/사용하지 않게 만든 것과는 무관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application@x-gzpdf"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명령">
- <longdesc>PDF문서 미리보기 만들기의 올바른 명령과 인자. nautilus 미리보기 만들기 문서의 자세한 정보 참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 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가능">
- <longdesc>참/거짓으로 설정 가능, 참이면 미리보기 만들기, 거짓이면 미리보기 만들기를 하지 않음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bzpdf"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명령">
- <longdesc>PDF문서 미리보기 만들기의 올바른 명령과 인자. nautilus 미리보기 만들기 문서의 자세한 정보 참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 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가능">
- <longdesc>참/거짓으로 설정 가능, 참이면 미리보기 만들기, 거짓이면 미리보기 만들기를 하지 않음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pdf"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명령">
- <longdesc>PDF문서 미리보기 만들기의 올바른 명령과 인자. nautilus 미리보기 만들기 문서의 자세한 정보 참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DF 문서의 미리보기 만들기 가능">
- <longdesc>참/거짓으로 설정 가능, 참이면 미리보기 만들기, 거짓이면 미리보기 만들기를 하지 않음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gnome-theme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마를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 테마의 미리보기를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테마의 미리보기 만들기 명령">
- <longdesc>이 키는 테마의 미리보기를 만드는데 쓰이는 명령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gnome-theme-installed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설치된 테마를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 설치된 테마의 미리보기를 만듭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설치된 테마의 미리보기 만들기 명령">
- <longdesc>이 키는 설치된 테마의 미리보기를 만드는데 쓰이는 명령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font-otf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픈타입 글꼴을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, 오픈타입 글꼴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오픈타입 글꼴의 미리보기 명령">
- <longdesc>오픈타입 글꼴의 미리보기를 만들 때 쓰이는 명령을 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font-pcf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CF 글꼴을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, PCF 글꼴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PCF 글꼴의 미리보기 명령">
- <longdesc>PCF 글꼴의 미리보기를 만들 때 쓰이는 명령을 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font-type1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Type1 글꼴을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, Type1 글꼴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Type1 글꼴의 미리보기 명령">
- <longdesc>Type1 글꼴의 미리보기를 만들 때 쓰이는 명령을 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@x-font-ttf">
- <entry name="en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트루타입 글꼴을 미리보기">
- <longdesc>참이면, 트루타입 글꼴을 미리 볼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트루타입 글꼴의 미리보기 명령">
- <longdesc>트루타입 글꼴의 미리보기를 만들 때 쓰이는 명령을 정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sound">
- <entry name="event_sound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벤트에 대한 사운드">
- <longdesc>사용자 이벤트에 사운드를 연주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es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ESD 사용">
- <longdesc>사운드 서버 시작을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mixer_track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믹서 트랙">
- <longdesc>멀티미디어 키가 사용할 기본 믹서 트랙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_mixer_devic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믹서 장치">
- <longdesc>멀티미디어 키가 사용할 기본 믹서 장치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eripherals">
- <dir name="mouse">
- <entry name="cursor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 크기">
- <longdesc>cursor_theme에서 참조하는 커서의 크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sor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 테마">
- <longdesc>커서 테마 이름. XFree86 4.3 이후 버전과 같이 Xcursor 기능을 지원하는 X 서버에서만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sor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 글꼴">
- <longdesc>커서의 글꼴 이름. 설정되지 않으면 기본 글꼴이 사용됩니다. 이 값은 X 서버가 매 세션을 시작할 때 적용됩니다. 그러므로 세션 실행 중에는 바뀌지 않으며, 다음 번 로그인 할 때 적용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ocate_pointe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포인터 위치">
- <longdesc>Control 키가 눌렀다 뗄 때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표시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ouble_clic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더블 클릭 시간">
- <longdesc>더블 클릭의 길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rag_threshol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δô£δ₧ÿΩ╖╕ Threshold">
- <longdesc>drag가 시작하기 전의 거리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tion_threshol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동작 Threshold">
- <longdesc>마우스 동작이 사용되기 위한 포인터의 픽셀 단위의 이동 거리. 시스템 기본 값은 -1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tion_acceleratio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단일 클릭">
- <longdesc>마우스 동작에 대한 가속 배율. 시스템 기본 값은 -1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ingle_clic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단일 클릭">
- <longdesc>아이콘 열기위해 한번 클릭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eft_hand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마우스 단추 위치">
- <longdesc>왼손잡이를 위해 마우스 단추의 좌우 바꿈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keyboard">
- <entry name="remember_numlock_sta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NumLock 상태 기억">
- <longdesc>참이면, 그놈에서 세션의 NumLock LED 상태를 기억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ell_custom_fi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키보드 벨 파일이름">
- <longdesc>연주할 벨소리의 파일 이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ell_mode">
- <local_schema>
- <longdesc>가능할 값들은 "on", "off" 그리고 "custom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dir name="indicator">
- <entry name="enabledPlugi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 중인 키보드 알림 플러그인 목록">
- <longdesc>사용 중인 키보드 알림 플러그인 목록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Fla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애플릿에 깃발 표시">
- <longdesc>애플릿에 현재 키보드 배치를 나타내는 깃발 표시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condar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다른 그룹">
- <longdesc>다른 그룹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preview">
- <entry name="he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높이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높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width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너비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너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세로 오프셋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세로 오프셋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x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미리 보기, 가로 오프셋">
- <longdesc>키보드 미리 보기, 가로 오프셋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eneral">
- <entry name="disable_sysconfig_changed_warn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X 시스템 설정 바뀜" 경고 메세지 표시하지 않기">
- <longdesc>"X 시스템 설정 바뀜" 경고 메세지 표시하지 않기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youtNamesAsGroupNa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룹 이름이 아니라 키보드 배치 이름 표시">
- <longdesc>그룹 이름 대신에 키보드 배치 이름을 표시 (키보드 배치 여러 개 동시 사용을 지원하는 XFree 버전의 경우에만 해당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handleIndicato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알림 기능을 키보드 배치 그룹과 같이 저장/복구">
- <longdesc>알림 기능을 키보드 배치 그룹과 같이 저장/복구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roupPerWindow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창마다 별도의 그룹을 유지 및 관리">
- <longdesc>창마다 별도의 그룹을 유지 및 관리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Gro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그룹, 창을 만들 때 할당">
- <longdesc>기본 그룹, 창을 만들 때 할당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known_file_lis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modmap 파일 목록">
- <longdesc>$HOME 디렉토리에 사용할 수 있는 modmap 파일의 목록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pdate_handler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업데이트 핸들러">
- <longdesc>키보드 상태를 다시 읽어들였을 때마다 실행할 스크립트 모음. xmodmap 기반으로 조정하는 부분을 다시 적용할 때 좋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kbd">
- <entry name="op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옵션">
- <longdesc>키보드 옵션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layou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배치">
- <longdesc>키보드 배치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de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키보드 모델">
- <longdesc>키보드 모델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overrideSetting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conf의 키보드 설정을 시스템의 설정으로 곧 바꿉니다 (곧 없어질 기능)">
- <longdesc>곧 gconf의 키보드 설정은 없어지고 시스템 설정을 사용하게 됩니다. 이 키는 그놈 2.12 이후로 계속 "곧 없어질 기능"인 상태입니다. 시스템 설정 기본값을 받으려면 모델, 배치, 옵션 키의 설정을 지우십시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lockdown">
- <entry name="disable_lock_screen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화면 잠그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화면을 잠그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user_switch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바꾸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세션 도중에 다른 계정으로 바꾸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print_set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 설정하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인쇄 설정을 바꾸지 못하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서, 모든 프로그램에서 "인쇄 설정" 대화 상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printin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인쇄하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인쇄를 하지 못하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서, 모든 프로그램에서 "인쇄" 대화 상자에 접근하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save_to_dis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디스크에 파일 저장하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지 못하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서, 모든 프로그램에서 "다른 이름으로 저장" 대화 상자에 접근하지 못하게 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isable_command_lin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명령 행 사용하지 않기">
- <longdesc>사용자가 터미널에 접근하거나 실행할 명령을 직접 지정하지 못하도록 합니다. 예를 들어서, 패널의 "프로그램 실행" 대화 상자에 접근을 막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interface">
- <entry name="show_unicode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'유니코드 제어 문자' 메뉴 표시">
- <longdesc>텍스트 입력창이나 편집창의 메뉴에 제어 문자 입력 기능을 넣을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how_input_method_menu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'입력기' 메뉴 표시">
- <longdesc>텍스트 입력창이나 편집창의 메뉴에 입력기를 바꾸는 기능을 넣을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bar_acce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모음 단축 키">
- <longdesc>메뉴 모음을 열 키보드 바로 가기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ile_chooser_backe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tkFileChooser용 모듈">
- <longdesc>GtkFileChooser 위젯의 파일시스템 모델로 사용할 모듈. 가능한 값은 "gnome-vfs"와 "gtk+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atus_bar_meter_on_righ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상태 표시줄을 오른쪽에">
- <longdesc>오른쪽에 상태 표시줄 미터를 보여줄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use_custom_fo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글꼴 사용">
- <longdesc>gtk+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 글꼴을 사용할 지 여부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nospace_font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고정폭 글꼴">
- <longdesc>고정폭 글꼴 이름, 터미널 등에서 사용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ocument_font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문서 글꼴">
- <longdesc>문서를 읽을 때 사용할 기본 글꼴의 이름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tk-im-status-sty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TK IM Status 형식">
- <longdesc>gtk+가 사용할 GTK+ 입력 방식 Status 형식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tk-im-preedit-sty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TK IM Preedit 형식">
- <longdesc>gtk+가 사용할 GTK+ 입력 방식 Preedit 형식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font_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글꼴">
- <longdesc>gtk+가 사용할 기본 글꼴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tk_key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tk+ 테마">
- <longdesc>gtk+가 사용할 기본 테마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gtk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Gtk+ 테마">
- <longdesc>gtk+가 사용할 기본 테마의 이름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icon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아이콘 테마">
- <longdesc>패널, 노틸러스등에서 사용할 아이콘 테마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sor_blink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 깜빡임 시간">
- <longdesc>커서 깜빡임 주기 (밀리초 단위)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sor_blink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커서 깜빡임">
- <longdesc>커서가 깜빡일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_icon_siz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아이콘 크기">
- <longdesc>도구 모음에 보일 아이콘의 크기를 명시합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_detach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분리 가능">
- <longdesc>사용자가 도구 모음을 분리하여 움직일 수 있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bar_detachab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 모음 분리 가능">
- <longdesc>사용자가 메뉴 모음을 분리해서 움직일 수 있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s_have_ic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에 아이콘 사용">
- <longdesc>메뉴가 메뉴 항목 다음에 아이콘을 표시할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toolbar_styl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구 모음 형식">
- <longdesc>도구 모음 형식. 가능한 값은 "both", "both-horiz", "icon" 그리고 "text"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an_change_acce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엑셀을 바꿀 수 있음">
- <longdesc>활성화된 메뉴 항목 위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새 단축키를 입력할 수 있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enus_have_tearoff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메뉴에 절취선 사용">
- <longdesc>메뉴에 절취선이 있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_anima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에니메이션 사용">
- <longdesc>에니메이션을 보여주어야 하는 지 여부. 주의: 이것은 전역 키입니다, 즉 창 관리자, 패널등의 동작을 바꿀 수 있습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accessibilit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엑세서빌리티 사용">
- <longdesc>응용프로그램이 엑세서빌리티를 지원하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file-views">
- <entry name="icon_the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파일 아이콘 테마">
- <longdesc>파일 아이콘을 보여줄 때 사용된 테마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background">
- <entry name="color_shading_typ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색상 변화 형식">
- <longdesc>바탕 색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 지 결정하십시오. 가능한 값들은 "horizontal-gradient", "vertical-gradient"와 "solid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econdary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이차 색상">
- <longdesc>경사지게 그릴 때의 오른쪽 혹은 아랫쪽 색, 단색에서는 사용하지 않음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rimary_color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일차 색상">
- <longdesc>경사지게 혹은 단색으로 그릴 때의 왼쪽 혹은 윗쪽 색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cture_opacit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불투명">
- <longdesc>바탕 그림을 그릴 때 불투명하게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cture_filena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이름">
- <longdesc>바탕 그림으로 사용할 파일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picture_option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그림 옵션">
- <longdesc>wallpaper_filename에 의해 설정된 그림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 지를 결정하십시오. 가능한 값들은 "none", "wallpaper", "centered", "scaled", "stretched"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raw_backgrou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데스크탑 바탕 그리기">
- <longdesc>그놈 데스크탑에서 데스크탑 바탕을 그립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accessibility">
- <dir name="startup">
- <entry name="exec_at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시작 보조 기술 프로그램">
- <longdesc>그놈 데스크탑에 로그인할 때 시작할 보조 기술 프로그램 목록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keyboard">
- <entry name="stickykeys_modifier_beep">
- <local_schema>
- <longdesc>Modifier가 눌려졌을 때 삑소리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tickykeys_two_key_off">
- <local_schema>
- <longdesc>두개의 키가 동시에 눌려졌을 때 사용안함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slowkeys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밀리초 단위의 최소 시간 간격">
- <longdesc>@delay 밀리초동안 눌려져 있지 않은 경우 키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usekeys_init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밀리초 단위의 초기 지연시간">
- <longdesc>마우스 이동 키가 동작하기 전에 기다릴 밀리초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usekeys_accel_tim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밀리초 단위로 얼마나 속도를 늘릴 것인지">
- <longdesc>0에서 최대 속도로 가는 데 걸릴 밀리초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mousekeys_max_spe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초당 픽셀">
- <longdesc>최대 속도에서 초당 이동한 픽셀수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bouncekeys_delay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밀리초 단위의 최소 시간 간격">
- <longdesc>@delay 밀리초 이내에 *같은* 키가 여러번 눌려졌을 때 무시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url-handlers">
- <dir name="h323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h323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h323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h323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h323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allto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callto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callto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callto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callto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mailto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mailto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mailto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mailto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mailto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https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https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https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https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https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dda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http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http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http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http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http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man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man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man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man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man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info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info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info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info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info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ghelp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ghelp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ghelp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ghelp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ghelp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rash">
- <entry name="needs_terminal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에서 명령을 실행합니다">
- <longdesc>참이면 이런 종류의 URL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터미널에서 실행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omman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"trash" URL에 대한 핸들러">
- <longdesc>"trash" URL을 처리할 경우 사용할 명령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nabled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지정한 명령어로 "trash" URL을 처리할 지 여부">
- <longdesc>참이면 "command" 키에 지정한 명령어로 "trash" URL을 처리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applications">
- <dir name="at">
- <dir name="visual">
- <entry name="start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한 시각 보조 기술 프로그램 시작">
- <longdesc>그놈에 로그인할 때 선택한 시각 보조 기술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한 시각 보조 기술 프로그램">
- <longdesc>로그인, 메뉴, 명령행에 사용할 시각 보조 기술 프로그램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mobility">
- <entry name="startup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한 움직임 보조 기술 프로그램 시작">
- <longdesc>그놈에 로그인할 때 선택한 움직임 보조 기술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선택한 움직임 보조 기술 프로그램">
- <longdesc>로그인, 메뉴, 명령행에 사용할 움직임 보조 기술 프로그램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dir name="window_manager">
- <entry name="workspace_nam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공간 이름 (사용하지 말 것 권장)">
- <longdesc>첫번째 창 관리자 작업공간의 이름 목록. 이 키는 그놈 2.12부터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umber_of_workspace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작업공간 수 (사용하지 말 것 권장)">
- <longdesc>창 관리자가 사용할 작업공간 수. 이 키는 그놈 2.12부터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curren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사용자 창 관리자 (사용하지 말 것 권장)">
- <longdesc>처음 시도할 창 관리자. 이 키는 그놈 2.12부터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default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예비 창 관리자 (사용하지 말 것 권장)">
- <longdesc>사용자의 창 관리자를 찾을 수 없는 경우의 예비 창 관리자. 이 키는 그놈 2.12부터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help_viewer">
- <entry name="accepts_urls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브라우저가 remote를 이해합니다">
- <longdesc>기본 도움말 뷰어가 URL을 이해하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eds_term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도움말 뷰어가 터미널을 필요로 합니다">
- <longdesc>기본 도움말 뷰어가 터미널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도움말 뷰어">
- <longdesc>기본 도움말 뷰어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browser">
- <entry name="nremote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브라우저가 remote를 이해합니다">
- <longdesc>기본 브라우저가 넷스케이프의 remote를 이해하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needs_term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브라우저가 터미널을 필요로 합니다">
- <longdesc>기본 브라우저가 터미널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지 여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브라우저">
- <longdesc>모든 URL에 대한 기본 브라우저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component_viewer"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기본 컴포넌트 보기 프로그램">
- <longdesc>볼려면 컴포넌트가 필요한 파일을 볼 때 사용할 프로그램. 인자 %s은(는) 파일의 URI이고, 인자 %c은(는) 컴포넌트 IID입니다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dir name="terminal">
- <entry name="exec_arg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실행 인자">
- <longdesc>'exec' 키로 정의된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자.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entry name="exec">
- <local_schema short_desc="터미널 응용프로그램">
- <longdesc>터미널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터미널 프로그램</longdesc>
- </local_schema>
- </entry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/dir>
- </gconf>
-